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개인적 우화와 상상적 청중의 정의와 사례 지도방법)

1.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개인적 우화와 .hwp
2.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개인적 우화와 .pdf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개인적 우화와 상상적 청중의 정의와 사례 지도방법)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개인적 우화와 상상적 청중의 정의와 사례 지도방법)

형식적 조작기에 달한 청소년은 자신의 생각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사고 또한 체계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청소년기의 급격한 신체적 ․ 정서적 변화로 말미암아 자신의 외모와 행동에 너무 몰두해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도 자기만큼 자신에게 관심이 있다고 생각하여 자신의 관심사와 타인의 관심사를 구분하지 못한다. 이것이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이다.

I. 상상적 관중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 사고를 반영하는 몇 가지 상황을 보면 청소년은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을 만들어 내어 자신은 주인공이 되어 무대 위에 서 있는 것처럼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구경꾼으로 생각한다. 청소년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관심의 초점으로 생각한다고 믿기 때문에 그들은 관중이고, 실제적인 상황에서는 자신이 관심의 초점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상상적이다. 상상적 관중은 시선 끌기 행동, 즉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고 싶은 욕망으로부터 나온다. Elkind(1978)는 청소년들이 자의식이 강하고 대증 앞에서 유치한 행동을 하는 것 등은 모두 이 상상적 관중 때문이라고 한다. 청소년은 종종 자기 비판적 이면서, 또한 자주 자기도취에 빠진다. 청소년의 유치함, 변덕스러움, 그리고 요란한 옷차림 등은 그 상당 부분이 자신이 매력적이라고 믿는 것과 다른 사람들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야기된다. 젊은이들은 흔히 왜 어른들이 자신의 복장과 행동방식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자아중심성은 이성에 대한 행동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두 시간 동안 거울 앞에서 머리를 빗질하는 소년은 아마도 소녀들로부터의 열광적인 반응을 상상하고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예쁘게 화장을 하는 소녀는 자신에게 던져질 찬사의 시선들을 상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청소년들이 실제로 서로 만났을 때에는 상대방을 관찰하기보다는 자신이 어떻게 관찰되어지는가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는다. 청소년들의 모임은 각 청소년들이 스스로 주인공임과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는 관중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하다.

II. 개인적 우화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을 반영하는 또 하나의 상황은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로서, 자신의 감정과 사고는 너무나 독특한 것이어서 다른 사람들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