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국가의 발전과 확대는 사회성원들의 삶의 질의 고양과 평등화, 그리고 자유로운 생활기회의 확대에 있어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1970년대 세계경제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진영에서 복지국가의 지출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 제기되었고, 그 이후 현재까지 이러한 비판은 계속되어오고 있다.
복지국가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비판의 핵심은 경제적인 것이지만 사회적, 도덕적 측면 등에서도 다양하게 제기되었는바, 여기에서는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신자유주의자들은 경제위기의 주범으로 복지국가를 들고 있다. 즉 복지국가에서의 지나친 지출이 한편으로는 만성적인 국가재정의 적자를 야기 시켰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들의 노동의욕을 저하시키고, 대신 ‘기대심리’, ‘의존심리’만을 부풀려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하에서는 생산성의 저하, 산업부문의 위축으로 인하여 경제적인 위기를 초래하게 되고, 결국 복지국가는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자들에 따르면 노동조합의 존재와 복지국가적 개입은 인간적 노동조건과 최소한의 소득보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과거에는 필요했을지 몰라도, 오늘날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오늘날의 시대에서는 더 이상 동질적인 노동대중의 시대가 아니라, 개인주의의 새로운 시대이고, 따라서 노동시장의 규제와 기타 여러 이전 시스템과 같은 복지국가적 조치들은 개인들이 각자의 창의성을 발전시키고 나름대로 독자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장애물이 될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능력과 창의성, 그리고 개인의 자기책임감을 일깨우고 강화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개인주의는 '순수한' 시장관계를 다시 도입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며, 당연히 여러 사회보장제도의 해체로 이어질 수밖에 있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자본축적의 가속화와 경제성장에 더 나은 조건을 제공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결국 경쟁을 심화시키고 유효수요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국민 대다수의 생활수준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즉 경제적 개인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또 강화시키면, 이로 인해 자유직 종사자들 또는 기업 합리화과정에서 득을 보는 일부 전문직 임금생활자들 같은 고소득자들은 과거보다 여러 장점을 누릴
복지국가위기의 반응(신마르크수주의의 반응, 현실주의의 반응) 복지국가위기의 반응(신마르크수주의의 반응, 현실주의의 반응)
I. 신마르크스주의의 반응
신마르크스주의자들(neo-Marxists)은 1970년대 이후의 복지국가의 위기를 단순한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모..
복지선진국가들의 위기에 대한 해결방안
복지선진국가들의 위기에 대한 해결방안
목 차
Ⅰ. 서론
Ⅱ. 복지국가의 개념
1. 윌렌스키(Wilensky)의 정의
2. 헥셔(Heckscher)의 정의
3. 미쉬라(Mishra)의 정의
4. 코르피(Korpi)의 정의
5. 에스핑 -안..
자본주의 국가와 사회주의 국가 자본주의 국가와 사회주의 국가
Ⅰ. 자본주의 국가
자본주의국가란 그 사회의 구성원 모두를 적어도 자신의 재산을 지닌 사적 개인 내지 그러한 사적 개인의 법적 표현인 '사법적 주체'로서는 차별 없이 포섭하고..
복지국가 위기의 정치, 행정적 배경 복지국가위기의 정치, 행정적 배경
특히 1980년대의 정치적 반대로 복지국가는 혐오와 축소의 대상으로 되었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국가정책은 시장 기준의 부재, 공공정책의 형성, 정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