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방법론

1. 창작방법론.hwp
2. 창작방법론.pdf
창작방법론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창작 방법론의 초기 단계
Ⅱ.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창작 방법론의 초기 단계

창작방법 논쟁의 내용과 의의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 단계의 창작방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창작방법론의 단초적 형태는 일찍 나타난다. 이른바 ‘내용-형식 논쟁’으로 불려지는 1926,7년경의 팔봉과 회월의 논쟁이다. 이 논쟁을 통하여 ‘정치’와 ‘문학’이 대립적으로 이해되고, 전자가 후자에 대하여 우월하다고 하는 의식이 정초된다. 1927년경 이래의 방향전환을 거치면서 이러한 의식은 더욱 선명해지는데, 거칠기는 하지만 창작방법론의 모습으로 그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조중곤의 ‘「낙동강」과 제2기작품’이다.
초기 단계의 창작방법론은 자생적이기는 하지만 본격적인 이론틀을 형성하지 못하고 소박한 모습을 보인다.

<중 략>

그 다음 표현양식 ― 형식에 대하여 일언(一言)하고자 한다. … 이론을 소화, 생활하는 데에서 평이하고 통속적이 될 것이니 그리하여 그것을 작품에 표현해야 할 것이다. … 프롤레타리아는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임을 물론하고 가장 과학적 현실적 역사적 과정을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작품은 항상 이에 대한 관심과 구명을 잊어서는 안 된다. … 또 하나는 체계와 맥락을 분명히 세우는 용의(用意)와 세련이 있어야겠다. … 그리고 묘사는 심리적임을 피하고 행동적이라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간단하나마 무엇을 취재할까를 부언할 필요가 있는 줄 안다. … 우리는 우리가 일상생활하고 체험하고 목도(目睹)하는 제반의 사실을 계급적 입장으로 관찰하고 계급적 이해관계라는 시각에서 고려, 비판, 섭취하여야 할 것이다.

한설야는 작품의 검토를 통해「사실주의 비판」의 내용을 정리한다. 그는 유지생의 「답싸리」를 자신의 작품「한길」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소부르 리얼리즘과 프로 리얼리즘의 차이와 특징을 지적한다. 작품의 검토는 한설야가 말하는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개념을 보다 선명하게 해준다.
창작방법론, 국문학, 국어,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
김영민, 『한국 근대문학 비평사』, 소명출판, 2002.
유문선, 「1930년대 창작방법 논쟁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정희모, 「1930년대 창작방법 논쟁과 카프 문학의 미학」, 《비평문학 제13호》, 한국비평문학회, 1999.
조수웅, 「한설야의 생애와 문학적 특색」, 《문학춘추》, 문학춘추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