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영화기행] 카니발 이론과 10월 영화분석, The Truman Show를 통한 카니발 이론 분석

1. [세계영화기행] 카니발 이론과 10월 영.hwp
2. [세계영화기행] 카니발 이론과 10월 영.pdf
[세계영화기행] 카니발 이론과 10월 영화분석, The Truman Show를 통한 카니발 이론 분석
카니발 이론과 [10월] 영화분석,
[The Truman Show]를 통한 카니발 이론 분석

몽타주로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영화 이론은 1920~30년대 러시아 영화계에서 ‘혁신가들’이 등장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혁신가들’의 일원으로서 영화 언어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하였다. 이 시기에 촬영된 에이젠슈테인의 영화 [10월]은 영화 형식과 언어에 대한 과감한 실험으로 인해 영화의 역사에서 주목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영화는 1920년대에 사고 영화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과 관련된다. 에이젠슈테인은 “몽타주는 사고와 분리될 수 없다. 여기서 사고는 분석하는 사고이며, 비판적인 사고이고, 총체화하고, 통일시켜며, 일반화시키는 사고이다.”라고 주장했다. 사실 많은 현대 영화들이 바흐친에 의해서 정립된 개념들, 즉 예술적 형상의 이율배반성과 카니발적 상황으로써 분석될 수 있는 것이다. 관객들에게 10월 혁명의 영화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에이젠슈테인의 [10월]도 바로 그러한 영화중의 하나이다. 즉, 기존 질서의 와해와 새로운 질서의 창조를 추구하는 혁명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는 영화 [10월]은 위치 교체와 탈관의 미학을 의미하는 카니발적인 모티프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영화의 장르는 ‘사건의 연속된 사슬이 아닐, 자유롭게 선택된, 내용상으로 서로 연관되지 않은 에피소드들의 견인 몽타주’로 간주된다. 에이젠슈테인이 몽타주를 관객들에게 일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으로 생각했다는 점은 이 영화가 10월 혁명의 카니발적 성격을 다룬다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