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강제성 완화, 시민운동 확대, 민주주의 개인주의화. 특징, 시사점

1. 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hwp
2. 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pdf
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강제성 완화, 시민운동 확대, 민주주의 개인주의화. 특징, 시사점
Report
( 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강제성 완화, 시민운동 확대, 민주주의 개인주의화. 특징, 시사점 )

목 차

1. 선거체제의 일반화

2. 통치자의 강제성 완화
- 군대, 강제조직의 후퇴

3. 다양한 분야의 자율권 확대
- 경제, 언론/지식, 시민사회, 사법체제

4. 시민운동의 확대

5. 민주주의의 개인주의화, 파편화
- VS 사회복지

6. 맺음말

1. 선거체제(이전보다 공정한)의 일반화

- 사사오입개헌(四捨五入改憲) : 이승만 정권 시절, 헌법 상 대통령이 3선을 할 수 없는 제한을 철폐하기 위해, 당시의 집권당인 자유당(自由黨)이 사사오입의 논리를 적용시켜 정족수 미달의 헌법개정안을 불법통과시킨 제2차 헌법개정. 국회에서 비밀투표를 한 결과(1954. 11. 27), 재적의원 203명, 참석의원 202명 중, 찬성이 135표, 반대가 60표, 기권이 7표로 나타났다. 당시의 개헌 가능 의결정족수는 재적의원의 2/3 이상이었으므로 이 개헌안이 가결되기 위한 충분한 선은 136명이어야 했다(재적의원 2/3는 135.33…명이므로, 자연인은 136명이어야 함). 따라서 당시 사회자였던 부의장 최순주(崔淳周)는 부결을 선포하였다.
[사사오입 관련 동영상]

- 3.15부정선거 : 1956년 정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국민들의 야당지지 성향과 투표결과를 분석한 자유당 정권은 순리적인 선거를 통해서는 승산이 없음을 깨닫고 1960년 정부통령선거를 처음부터 관권을 동원하여 부정하게 치룬 사건.

※ 내무부장관 최인규(崔仁圭)를 중심으로 공무원을 총동원한 부정선거 음모의 내용
① 4할 사전투표(事前投票)
② 3인조에 의한 반공개(半公開) 투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