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60분」이 생생한 현장감으로 충격을 주자 그때까지 안정된 화면, 밝은 화면 아니면 영상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획일화된 PD와 카메라맨들 사이에서 급속히 ‘TV영상은 발로 잡는 것이다’라는 생각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왜 발로 잡아야 되나 하는 목적의식이 결여된 경우가 허다하게 나타났다.... 심지어 당시 왕 PD라고 불리울 정도로 의욕에 넘쳐 일하던 KBS 사장은 제작간부회의에서 무조건 카메라를 흔들어 생동감을 주라는 식으로 지시하기까지 했다.”
[현실감]은 불변하는 요소가 아니다. [현실감] 자체는 빈 그릇과 같으며 거기에는 특정한 국면에 특정한 내용이 채워진다. 위에서 인용한 국내 방송 다큐멘터리의 제작 뒷 이야기는 바로 이점을 말해준다. 현장에서 이. 엔. 지.(ENG) 카메라로 잡은 흔들리는 영상은 기존의 [현실감]의 내용을 대신하여 새로운 [현실감있는] 스타일로 자리잡는다. 물론 이 스타일은 우리가 [현실감]있다고 [믿는] 하나의 관습에 불과하다. [현실감]은 단 하나의 개념이 아니다. 드미트리 쉬라펜토흐 등은 [현실감]의 개념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나눈다. ① 존재론적 현실감, ② 개인적 현실감, ③ 제도적 현실감, ④ 예술적 현실감, ⑤ 과학적 현실감. 현실 세계에 대해 개인이 가지는 현실감은 사람마다 다르며 끊임없이 외부로 부터 영향을 받는다. 개인이 가진 현실감은 물질적 세계 뿐 아니라 제도(방송같은)나 예술의 현실감에 영향을 받으며 각각의 현실감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또한 중요한 것은 각 개인이 믿는 현실감은 상호관계 안에서 특정한 객관성이나 정통성에 도달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게 된다. 내가 믿는 것이 타인의 그것과 달리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현실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큐멘터리가 주장하는 [진실성(authenticity)]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널드 와트는 다큐멘터리(특히 역사를 다루는 경우)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
다큐멘터리의 서사와 인식론 다큐멘터리의 서사와 인식론
1. 들어가며
역사서술의 사실주의가 지닌 시적인 속성은 다큐멘터리의 진실 주장에 새로운 관점을 도입한다. 다큐멘터리는 사실적인 현실 재현에서 어느 매체나 양식보다 우월한 지..
다큐멘터리의 정의 문제 다큐멘터리의 정의 문제
1. 들어가며
다큐멘터리를 명쾌하게 정의내리는 것은 간단치 않은 문제이다. 심지어 다큐멘터리란 용어가 일상화된 방송 현장에서도 일치된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 다큐멘터리는 그 ..
사회의 반영으로서의 문학적 가치 문학작품의 사회적 반영으로서의 가치
『석녀(石女)들의 마을』과 『 마려운 사람들』
1. 논의의 실마리 : 문학작품과 사회현실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
문학작품과 사회현실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 ..
통일의 당위성과 통일의 의미에 대해 통일의 당위성과 통일의 의미에 대해
1. 통일의 당위성
통일은 수천 년 동안 단일 민족국가를 형성해 온 우리 민족의 역사적 정통성을 잇고, 우리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이룩하며 나아가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