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통일정책은 이북지역을 수복하는데 목표를 둔 북진통일정책 이었다.
이승만 정부는 1948년 8월15일 정부수립을 내외에 선포하면서 △대한민국정부가 헌법의 규정에 따라 한반도 전역에 주권을 가진 유일합법 정부이며 △ 선거가 보류된 북한에서 조속히 민주선거를 실시, 북한동포를 위해 공석으로 남겨둔 100석의 국회 의석을 채워야 하고 △ 북한 수복에 대한 북한 동포들의 자발적인 의사가 계속 봉쇄되는 경우 대한민국은 무력에 의해서라도 북한에 대한 주권을 회복할 권한이 있다고 밝혔다. 북한지역을 미수복지구로 생각해 흡수통일을 전제로 한 통일정책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북진통일론이 대두된 것은 공산주의자들의 통일공세에 대해 대안을 제시할 필요성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북진통일론은 수세적 입장에서 표출된 비현실적인 주장이었기에 반공의식 고취는 몰라도 남한 국민들을 크게 안심시키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고 북한에 대해서도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무력통일 불사론이라든가 휴전협정 체결기의 이승만 대통령의 북진통일운동은 정치적 구호로서의 상징적 의미가 짙었으며 실천적 차원보다는 북한의 ‘남북협상론’이나 ‘주한미군 철수론’에 대한 대응논리로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1954년에 들어와 북진통일운동은 일단 후퇴하면서 남북 자유총선거론으로 전환됐다. 그 계기가 된 것은 1954년 4월 26일 개최된 제네바 정치회담이었다. 이 회담에서 당시 변영태 외무부장관은 6월 14일 14개 조항의 통일방안을 제시했는데, 그 핵심 내용은 “통일독립 민주한국을 수립할 목적으로 종전 유엔의 제(諸)결의에 의거하여 유엔 감시하에 자유선거를 실시한다. 현재까지 자유선거가 불가능했던 북한에서 자유선거를 실시한다. 그리고 남한 역시 대한민국 헌법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선거를 실시한다”는 것이었다.
....
북한의 대외정책 북한의 대외정책
목 차
제1절 탈냉전기 북한의 대외정책기조와 주변 4강 관계
1 북한외교의 이념과 기조
1) 북한외교의 이념과 특징
2) 북한외교정책의 기조 : 이중전략의 추구
2. 적대관계의 조정 : 북미 . 북..
남한의 통일 정책 서 문 1
본 문
I.민족 혼란기의 통일 정책 3
1) 전 제 3
2) 주요 정당의 통일 정책 3
(1) 조선인민당 4
(2) 조선공산당 8
(3) 국 민 당 14
(4) 한국독립당 17
(5) 한국민주당 21
3) 민족 혼란기의 주..
통일정책 서 문
본 문
I.민족 혼란기의 통일 정책
1) 전 제
2) 주요 정당의 통일 정책
(1) 조선인민당
(2) 조선공산당
(3) 국 민 당
(4) 한국독립당
(5) 한국민주당
3) 민족 혼란기의 주요 정당들의 통일 정책에 대..
제 2 공화국의 통일 정책 제 2 공화국의 통일 정책
1. 배경
4․19 혁명으로 민권은 승리를 거두게 되었고 따라서 당연히 활발한 통일 논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4․19 이후의 각 당들은 가지각색의 통일 방안을 내놓았는데 여기서의 특징..
이승만 정권의 통일 정책 - 6.25 이전 1공화국 당시 이승만 정권의 통일 정책 - 6․25 이전 제 1 공화국
1. 배경
1948년 8월 15일 남한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곧이어 북한에서도 ‘북조선 인민 민주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자 이제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통일..
북한의 통일정책 변천과정 연구 북한의 통일정책 변천과정 연구
1. 들어가며
북한의 통일방안은 ‘남조선혁명’을 목표로 하는 대남전략을 기조로 하여 시대적 조건과 환경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왔다. 북한의 초기통일방안은 ‘하나의 조선’ 논리..
대북정책 목 차
Ⅰ.서론
1. 주제선택의 이유와 중요성
Ⅱ.본론
1. 1970년대 이전의 대북정책
2. 1970년대 국제환경과 한반도 안전보장책
3. 1970년대 통일정책
4. 8·15선언(평화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구상 제의)
5. 남..
6 25 이후 이승만의 제 1 공화국의 통일 정책 6 . 25 이후 이승만의 제 1 공화국의 통일 정책
1. 배경
6․25라는 동족 상잔의 비극이 휴전이라는 애매한 방법으로 끝나자 기존 사고방식이 180°바뀌는 변화는 없었지만 이승만 정부도 어느 정도 생각을 달리 하..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분석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분석
1. 배경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죽음으로써 사실상 제 4 공화국은 와해되었고 임시로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국정을 관리하다가 그 해 12월 21일 대통령에 취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