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식생활 문화의 형성과 변천
1. 선사 시대의 식생활
: 선사시대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로 이 시대는 자연식품을 채취하면서 생활
가. 구석기 시대의 식생활: 수렵, 어로와 채집, 불의 이용
나. 신석기 시대의 식생활: 잡곡재배로 농업시작, 벼농사의 도입과 전파, 조리가공 용구
2. 부족 국가시대의 식생활
: 부여, 고구려, 예, 옥저, 삼한으로 연맹 왕국이 세워졌던 이 시기에는 농업이 주산업이었다. 이 시기에는 농기구가 철기구로 바뀌면서 철기문화를 배경으로 농업을 비롯한 여러 면의 생활문화가 상당한 경지로 전개되었다.
가. 보리농사의 전파, 어업과 어패류, 채소와 과일류, 양축과 수렵, 식품의 조리가공
3.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식생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을 거쳐 통일신라에 이르는 과정에서 한국의 주요 식량의 생산과 상용음식의 조리가공, 일상식의 기본양식, 주방의 설비와 식기 등 한국 식생활의 구조와 체계가 성립되었다. 삼국은 모두 벼농사를 기본으로 하였으므로 수리사업을 추진해서 백제에서는 김제의 벽골지, 신라에서는 영천, 밀양, 상주, 제천 등에 제방을 구축하였다. 삼국의 통일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각각 그 고장의 풍토에 맞추어서 특성 있게 발전되고 있던 식생활의 내용이 정치․경제적인 통합 환경에서 상호 교류되어서 한국 식생활 문화가 발전하는 큰 동기로 작용하였다. 특히 일찍이 정착되었던 벼농사의 기술이 계속 발달하고 통일신라시대는 쌀밥의 주식화가 일반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