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터민의 의의: 북한을 탈북하여 새로운 터전에 정착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초기에는 남한에서 이들을 귀순자(歸順者) 또는 귀순 용사(歸順勇士)라고 불렀으며, 1990년대 이후 북조선의 경제난으로 인해 북조선을 이탈해 남한으로 들어오는 주민이 늘어나자 탈북자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탈북자 는 법률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 대신 그동안 널리 써오던 용어를 2004년 통일부에서 국민의 의견수렴을 거쳐 선정한 것이다
남한 일각에서는 탈북자라는 용어가 어감이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다른 용어로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따라 2005년 1월 9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한국거주 탈북자를 순화 용어인 새터민(-民)으로 바꾼다고 발표했다. 이 말은 ‘새로운 터전에 정착한 주민’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일부 언론에서 이 용어를 그대로 받아 사용하고 있으나, 탈북자 단체와 남한 사회 일부에서는 해당 용어가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럽다고 여겨 받아들이기를 꺼리기도 한다. 또 낱말의 의미가 탈북자는 북조선을 이탈한 주민을 포괄하는 용어인데 견주어, 새터민의 뜻은 아직 한국에 정착하지 못하고 해외에 흩어져 있는 탈북자들을 아우르지 못하기 때문에 용어정의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밖에 ‘북한 이탈 주민’이라는 용어가 ‘탈북자’의 대체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 동안 새터민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으나, 2008년 11월 21일에 통일부는 가급적이면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안 쓴다고 발표했다
2. 새터민의 역사
가. 한국전쟁 이후부터 여러 이유로 조선 주민이 한국으로 탈출해 왔다. 한국으로 초기에 북조선을 탈출해 남한에 망명해 오는 사람은 대부분이 정치적인 이유로 탈출한 사람들이었다. 특히 공군 조종사의 귀환이 두드러지며 이들은 귀순용사 로 칭송되었다
....
새터민 이주민복지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 새터민 ․ 이주민복지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목 차
Ⅰ. 새터민 ․ 이주민의 정의
1) 새터민의 정의
2) 이주민의 정의
Ⅱ. 다민족 ․ 다문화사회의 진입과 새터민 ․ 이주민의 복지욕구
1) 다민족 ․ 다문화사회의 ..
[사회복지개론] 새터민 복지 - 새터민 정착 지원 사회복지개론
-새터민 복지-
새터민 정착 지원
1. 새터민의 개념과 현황
국경선과 제3국을 통해 북한에서 남한으로 귀국해 오는 주민을 말한다.
(1)연원 및 변천
분단 이후 탈북자에 대한 최초의 칭호는‘귀순..
다문화 -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제도 다문화 -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제도
목 차
Ⅰ. 다문화의 이해
Ⅱ. 해외의 다문화 사례
Ⅲ.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교육
Ⅳ. 나아가야 할 방향
Ⅰ. 다문화의 이해
다문화는 여러 유형의 이질적인 문화가 하나의 제도..
군사정부의 경제성장 중심 발전과 사회복지의 지체 군사정부의 경제성장 중심 발전과 사회복지의 지체
한국전쟁 이후 혼란기를 거쳐 군사혁명을 통해 수립된 제3공화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추동하였지만, 사회복지 제도 발전에는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외원기관..
A+ KCC 3분기 대졸 신입사원 기술영업_서울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프로젝트에서 저는 연구팀과 영업팀 간 소통의 핵심 역할을 맡아 기술적 내용을 고객에게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술영업 직무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고객의 기술적 문..
A+ KCC 3분기 대졸 신입사원 기술영업_서울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프로젝트에서 저는 연구팀과 영업팀 간 소통의 핵심 역할을 맡아 기술적 내용을 고객에게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술영업 직무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고객의 기술적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