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의 일반원칙이라 함은 행정법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법원칙을 말한다.
행정법의 일반원칙으로는 비례성의 원칙(과잉금지의 원칙), 신뢰보호의 원칙 평등의 원칙, 신의성실 및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등을 들 수 있다.
Ⅱ. 비례성의 원칙
(1) 의의 및 성질
비례성의 원칙이란 행정주체가 구체적인 행정 목적을 실현함에 있어서 그 목적 실현과 수단 사이에 합리적인 비례관계가 유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 원칙은 헌법차원의 법 원칙으로서의 성질과 효력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2) 법적 근거
헌법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 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제한할 수 없다’고 규정하여 비례성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3) 상용범위
비례성의 원칙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영역에 대한 공권력의 침해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비례성 원칙은 재량권행상의 한계, 부관의 한계, 행정행위의 취소.철회의 제한, 사정판결, 급부행정 등 여러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공용침해 요건의 하나로서의 ‘공공필요’의 요건충족 여부를 가늠해 주는 원칙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4) 내용
1) 적합성의 원칙
적합성의 원칙 - 행정기관이 취한 조치 또는 수단이 목적달성에 적합한 것이어야 함을 의
미 한다.
필요성의 원칙 - 행정조치는 의도하는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하고도 최소 침해의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행정법의 일반원칙에 대한 검토 행정법의 일반원칙
1. 평등의 원칙과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1) 서설
(1) 의의
① 평등의 원칙
평등의 원칙이란 특별히 합리적인 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행정작용을 함에 있어서 행정관은 상대방인 국민을..
[행정법] 행정법의 일반원칙 행정법의 일반원칙
1. 평등의 원칙과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1. 서설
(1 )의의
① 평등의 원칙 : 특별히 합리적인 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행정작용을 함에 있어서 행정기관은 상대방인 국민을 공평하게 대..
[행정] 행정법의 일반원칙 행정법의 일반원칙
1. 평등의 원칙과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1. 서설
(1 )의의
① 평등의 원칙 : 특별히 합리적인 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행정작용을 함에 있어서 행정기관은 상대방인 국민을 공평하게 ..
[행정법] 행정법의 법원과 효력 행정법의 법원과 효력
Ⅰ. 행정법의 법원
1. 행정법의 법원(존재형석)
: 행정법의 규제대상이 광범위하고 복잡, 전문. 기술화되어 있어서 행정법의 존재형식인 행정법의 법원 또는 연원 또한 다양하다. 성문법원..
행정법의 법원리로써 조리 연구1 행정법의 법원리로써 조리
I. 들어가며
1. 조리의 개념과 기능
조리란 사물의 본질적 법칙, 일반사회의 정의감에 비추어 반드시 그러해야 할 것이라고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리는 법해석의 기본원리..
[행정법]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Ⅰ. 행정법의 성립
1. 대륙법계
대륙법계는 법치국가의 사상과 행정제도의 발달로 행정법이 일찍부터 성립되어왔다.
(1) 법치국가의 사상 : 국가의 모든 작용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의회에..
[행정]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Ⅰ. 행정법의 성립
1. 대륙법계
대륙법계는 법치국가의 사상과 행정제도의 발달로 행정법이 일찍부터 성립되어왔다.
(1) 법치국가의 사상 : 국가의 모든 작용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의회..
대륙법계와 영미법계의 비교를 통해 본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 (대륙법계와 영미법계 비교)
Ⅰ. 대륙법계와 영미법계의 행정법 성립
1. 대륙법계
기본적으로 대륙법계는 법치국가의 사상과 행정제도의 발달로 행정법이 일찍부터 성립되어왔다.
(1) 법치..
[행정법] 행정법의 특질 행정법의 특질
Ⅰ. 개설
단일법전의 부재. but 공통의 기초 원리
☞우리는 여기서 행정법과 민법을 일반법으로하는 사법체계와의 차이점을 배우게 됩니다. 다만 민법에 관한 기초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행정법의 특..
[행정] 행정법의 특질 행정법의 특질
Ⅰ. 개설
단일법전의 부재. but 공통의 기초 원리
☞우리는 여기서 행정법과 민법을 일반법으로하는 사법체계와의 차이점을 배우게 됩니다. 다만 민법에 관한 기초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행정법의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