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인식원리에 대한 전개에서 소리인식현상은 각 반응물질들의 반응대가 상당히 겹치고 해서 단순히 공진음만으로는 경험될 수 없는 음색들이 소리인식공간에 많이 존재하며, 또한 성도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의 모양도 발성구조의 제약에 의해 상당히 제한적일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소리인식현상은 자극에 대한 감응지연적 특성이 있어서 소리에 시간적 변화를 주는 발성을 하면 각 반응물질들의 감응지연적 효과가 달라서 변화를 주는 방식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인식현상이 유도될 수 있고 따라서 소리변화 방식에 따라 새로운 음색들이 많이 경험될 수 있을 것임을 알았다. 그래서 사람은 다양한 음색을 유도하기 위해 발성시 입을 움직이거나 하는 방법으로 소리에 변화를 주면서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때 성대를 떨게 하는 동작과 성도의 모양을 바꾸는 동작을 동시에 하는 것은 서로 근육에 영향이 가서 두 동작은 같이 하기가 힘든 발성 제약조건이 따르게 된다. 여기서 제한된 음색 극복의 수단으로 소리에 변화를 주기 위해 성도의 모양을 급하게 하면 할수록 성대가 강하게 떨 수 없어서 물리적 소리가 강하게 날 수 없는 제약이 생긴다. 이 특성은 언어에 반영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언어를 나타내는 글자에 모음과 자음이라는 성격이 다른 두 부류가 생기는 것이 이런 언어인식현상의 반응특성과 함께 발성특성에서 그 원인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국문학]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
세계에는 수많은 문자가 있는데 언어적 기능 면에서 생각하면 표어문자(表語文字)와 표음문자(表音文字)로 나누어진다. 흔히 한자는 표의문자(表意文字)라고 하지만 그 사회..
영어영문학 - 영어 알파벳의 기원 영어영문학 - 영어 알파벳의 기원
Ⅰ. 서 문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영어의 발달사를 공부할 수 있게 되서 참으로 기쁘다는 생각을 한다. 물론 전 세계 공용어로 널리 쓰이고 있는 영어를 잘하는 것도 중요하..
존대의 보조사 요와 여의 표기 및 발음에 대한 인정 여부 존대의 보조사요와 여의표기 및 발음에 대한 인정 여부
최근 존대의 보조사 '요'를 '여'로 발음하거나 심지어 '여'로 표기하는 현상이 점점 늘고 있다.
언어는 변화해야 하지만, 그 변화는 체계의 안정성과 사회적..
한글의 우수성 한글의 우수성
한글은 현존하는 문자중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다.
소리의 표현을 한글은 8800개를 낼수있다. 일본어는 300개 중국어(한자)는400여개
또한 한국이 문맹률이 가장 낮은 점은 한..
생각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과 훈민정음 공통 논제 비교 : 언어와 문자, 백성과의 관계
반면,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에서 세종대왕은 백성이 자신의 말을 문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현실을 해결하고자 훈민정음을 창제했음을 밝히며, 누구나 쉽게 익혀서..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서론
II. 규범의 변화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표기의 실제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표기의 정신
I. 서론
*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 ..
[국문학] 한글의 특성과 세계화전략 한글의 특성과 세계화전략
한글은 지금으로부터 약 560여 년 전인 1446년, 세종 28년에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의 훈민정음이 반포되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유는 무엇일까 1392년 조선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