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권의 정치체제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직접 통치와 유사민간화의 과정 그리고 정당정치의 무용화, 그리고 유신체제에서 보여주는 정권의 개인화와 총력안보체제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 단락에서는 박정희가 직접적으로 정권을 장악한 이후인, 민정 이양 이후부터 유신체제까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유사민간화 그리고 정당정치의 무용화, 정권의 개인화와 총력안보체제를 고찰하고 이의 정당성을 논하기로 한다.
민정 이양을 통해 수립된 박정희 정권은 두 가지 의미에서 유사 민간 정권이라고 불릴 수 있다. 하나는 주요정책의 입안과 집행이 군부와 민간인의 일종의 연립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권력의 핵심이 군인 정치가들이 장악한 행정부에 있었지만 정치과정은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정당 정치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는 점이다. 우선 민․ 군 연립의 성격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쿠데타 집권 세력은 흔히, 자신에게 부적한 정치적 정당성과 행정․ 기술적 전문성을 보충하기 위하여 지식인, 전문기술인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민간 세력의 충원을 도모한다. 한국의 경우에도 집권 세력은 정치, 경제, 행정의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민간인들을 충원하였다. 민간인들은 정치․ 경제의 다양한 위치에 포진하여 박정희가 추구한 정치적 통제의 명분을 제공하고 , 경제 성장의 관리를 담당하였다. 이러한 충원의 형태는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정치권력이 쿠데타로 집권한 군부 출신의 정치인에게 있었고, 통치의 기반이 군부와 기타 억압 기구에 있었다. 중앙정보부와 군부는 이 유사 민간화된 군사정권의 중요한 통치 기반이었다. 중앙정보부는 당, 국가 기구, 민간 사회의 전역에 걸쳐 사찰 업무를 수행하고 불법 납치와 고문을 일삼아 공포 정치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
박정희 시대에 대한 평가 박정희 시대에 대한 평가
1.유신헌법
2.부마민주항쟁
3.군사 정권
4.군사 정변
5.경제계획
6.새마을 운동
유신헌법
유신이란
명치유신에서 유래.
자존의 질서 또는 형태를 보다 발전되고 향상된 것으로 변혁, 개..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민중세력의 정치참여와 민주화에 미친 영향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민중세력의 정치참여와 민주화에 미친 영향
1. 박정희 정권 기간
유신독재기간에 있어서 시민세력의 동원은(제3단계) 1960년대의 제반 모순들이 번번하게 표출되는 가운데, 3선 개헌 반대 ..
유신체제의성립과붕괴
유신체제의 성립과 붕괴
목 차
1. 서론
2. 유신체제의 성립배경
(1) 국내적 배경
① 정치적 배경
② 경제적 배경
③ 사회적 배경
(2) 대외적 배경
3. 유신체제의 제도적 특성과 정치구조
(1) 제도화 과정
..
한국의 단체교섭 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 단체교섭 구조의 형성과 변화 양상에 대한 검토
1. 우리나라 노동조합 조직형태에 대한 입법연혁
1953년 노동조합법 제정 이후 노조의 조직형태는 기업별 체제로 정착되어 오다가 1961년 5.16 군사정부에..
유교와한국정치 1. 들어가며
<우리 정치의 후진성>
현대 사회 속에서, 특히 서구의 자유민주주의는 우리에게 인간의 존엄과 자유, 그리고 평등의 가능성을 증명해 주었다. 이러한 서구의 산업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등은 여러 ..
국가보안법역사
국가보안법 역사
목 차
1. 국가보안법 제정에서 제 4차 개정(1948.12~1961.5)까지의 시기
1) 제정부터 한국전쟁 전까지의 기간
2) 한국전쟁에서 4․19 이전까지의 기간
3) 제2공화국하의 국가보안법 적용사
가..
한국적 민주주의 [역사비평] 99년 여름호(통권 47호)
한국적 민주주의
'한국적 민주주의'는 1972년에 수립된 '유신체제'(維新體制)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신주도세력 및 유신체제를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공한 이데올로그들이 앞장..
제5공화국 제 5공화국
(신군부의 폭압통치와 민주화 운동)
-서론-
제5공화국은 군부의 재집권을 가져오는 정치 변혁을 보여 준다. 이는 군부에의한 강력한 통치체제인 박정권의 후속타로 등장한 권위주의 체제의 재출..
[행정개혁의 발자취] 우리나라(한국) 행정개혁의 발전과정(역사) [행정개혁의 발자취] 우리나라(한국) 행정개혁의 발전과정(역사)
목차
행정개혁의 발자취
Ⅰ.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Ⅱ. 제1공화국의 행정개혁
Ⅲ. 제2공화국의 행정개혁
Ⅳ. 5-16 군사정권의 행정개혁
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