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유럽어군에 속해있는 하위 언어군들 가운데 게르만어군은 독일어 Gott, 영어 god, 덴마크어 gud, 스웨덴어 gud, 네덜란드어 god 등이 보여주는 것처럼 일반적 개념의 ‘신’(神)을 표현하는데 있어 어원적으로 동일한 어휘를 사용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문제의 개념에 대해 사용되는 그러한 류의 형태소가 게르만어군에서만 확인되며, 그 외의 언어군들에서는 그와는 어원적으로 전혀 다른 형태소들( 보기 1.1.̴1.3.)로 ‘신'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 독일어 Gott에 대한 사전적 의미1)는 일반적으로 ‘(im Monotheismus, besonders im Christentum) höchstes übernatürliches Wesen, das als Schöpfer Ursache allen Naturgeschehens ist, das Schicksal der Menschen lenkt, Richter über ihr sittliches Verhalten und ihr Heilsbringer’로 나와 있다. 그러나 그 어원적 의미2)는 일반적으로 ‘das angerufene (Wesen)’ 내지 ‘das gegossene (Wesen)’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본고의 목적은 그러한 두 가지 해석 중 Gott가 그 원래의 어원을 어디에 두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해명은 인도-유럽어의 기반 하에 역사적 음운론과 형태론의 측면에서 수행될 것이다. Gott의 어근은 게르만어군 이외에서도 잘 나타난다. 특히 고대인도어, 희랍어, 라전어 등은 그 원래의 형태와 의미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 어형의 어원을 밝히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려된다. 그에 앞서 본 논문은 먼저 다른 인도-유럽어들이 Gott에 대응되는 개념에 대해 어떤 류의 어형들을 사용하며, 그 어원을 어디에 두고 있는지 개관하고 본 논문의 중심테마를 다루기로 한다.
1.1. ‘하늘’의 어원을 갖는 ‘신’
....
국어 문법 <형태론> 국어 문법 <형태론> 에 대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단어의 형성
1. 형태소
<1> 형태소-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
중학교 음운론 관련 단원의 내용 및 문제점 중학교 음운론 관련 단원의 내용 및 문제점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들어가며
2. 교과서 내용 및 문제점
1) 6차..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Ⅰ. 머리말
Ⅱ.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
1. 전통문법적 연구: 품사론 속의 형태론
2. 구조문법적 연구: 단어구조, 어미체계, 파생접미사의 기술
3. 생성형태론: 단어형성론과 ..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연구사적 고찰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연구사적 고찰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硏究史 개관과 문제 제기
2-1 연구사 개관..
오딧세이 1. 제우스 - 최고의 신.
명칭은 하늘, 낮, 빛을 의미하는 인도-게르만어의 디에우스(dyeus)에서 유래하였고, 로마신화의 주피터(Jupiter)와 동일시 되었다.
크로노스와 레아의 막내아들로 태어나 올림포스 신들을..
프랑스어의 역사 1. 프랑스어의 역사
차 례
Ⅰ. 머릿말---1
Ⅱ. 프랑스어의 역사---1
Ⅲ. 맺음말---3
※ 참고문헌---4
Ⅰ. 머릿말
오늘날의 프랑스는 고대의 골 지방1)1) 골 지방 : 고대 프랑스의 골지방은 현재의 거의 프랑스 ..
니체에있어서형이상학적인간관 니체에 있어서 형이상학적 인간학(Metaphysische Anthropologie)의 해체로서의 기독교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2. 기독교 의식의 파괴:
Gott ist tot
3. 역사적 인간으로서의 예수:
신앙과 실천
4...
범신론 논쟁에 대한 하이네의 비판과 그의 진보적 범신론 범신론 논쟁에 대한 하이네의 비판과 그의 진보적 범신론
Ⅰ.서론
범신론이란 “신이 모든 사물 안에 살아있고 우주 자체의 생명이어서, 결국 신과 살아있는 피조물인 자연이 일치한다는 세계관 die Weltanschau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