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긴 시간 근로로 인하여 근로자의 건강이 위협받게 되고 강제근로가 이루어짐으로써 사회적 이슈가 되자 근로시간 제한에 대한 움직임이 일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53년도에 근로기준법을 제정하면서 ILO기준을 받아들여 1일 8시간 근로제를 도입하였으며, 1주일에 6일 근로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주당 법정기준근로시간을 48시간으로 규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근로자의 연간 근로시간은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긴 편이어서 노동계를 중심으로 주당 법정근로시간을 단축해서 장기근로를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1989년에는 주당 법정기준근로시간이 44시간으로, 2003년에는 40시간으로 단축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근로시간이 지속적으로 단축되어 왔으나, ‘근로시간의 정의’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 제49조에서 ‘휴게시간을 제하고’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근로자가 어떤 상태에 있는 시간을 실근로시간으로 볼 것인지에 관해 아무런 정함이 없어 근로시간을 판단하는 데 있어 적지 않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근로시간 판단기준에 대한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근로시간 해당 여부를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II. 근로시간의 판단기준
1. 학설 및 판례
가. 판례 및 다수설
....
징계권 남용의 판단 징계권의 형태와 정당성 판단의 기준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징계차원의 인사명령을 내려야 하는 사안이 발생하였을 경우 기업내부에서 실시되는 징계권이 적법하고 유..
이중처벌의 금지의 원칙 이중 징계 처벌 금지의 원칙 에 대한 법적 검토
I. 들어가며
사용자의 징계권이란 사용자가 사업장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업장의 규율을 위반한 근로자에게 일정한 불이익을 과하는 권리를 말하는 것으로..
노동관계법상 사용자의 징계권행사의 정당성 검토 사용자의 징계권 행사의 정당성
Ⅰ. 들어가며
징계란 직장복무규율 등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하여 사용자가 취하는 제재조치를 말한다.
이러한 징계와 관련하여 근기법 제30조 제1항에서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하여 논하라 쟁의행위 정당성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1.근로3권보장과 쟁의행위
헌법 제33조에서는 근로자의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대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근로3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3권중 단체행..
쟁의행위의 유형별 정당성에 관한 노조법상 쟁점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유형별 정당성
Ⅰ. 들어가며
쟁의행위는 노사 쌍방이 자신의 의견을 관철할 목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유무형력 행사를 하는 과정 전반을 의미하며, 이러한 쟁의행위에 대한 민형사 면책 등은 ..
징계위원회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징계위원회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노동법)
1. 징계위원회 법적 효력 개관
법원은, 단체협약 소정의 징계위원회에서의 진술기회를 부여하지 아니한 채 이루어진 징계위원회의 심의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한 ..
징계위원회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1 노동법상 징계위원회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1. 징계위원회 법적 효력 개관
법원은, 단체협약 소정의 징계위원회에서의 진술기회를 부여하지 아니한 채 이루어진 징계위원회의 심의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한 ..
사용자의 징계권의 근거와 한계 a 사용자의 징계권의 근거와 한계에 대한 법적 검토
1. 들어가며
사용자의 지휘·명령이나 기업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근로자에게 해고, 정직, 감봉 등의 불이익한 조치를 취하는 권리인 징계권은 기업의 질서와..
근기법상 사용자의 징계권에 대한 법적 검토 사용자의 징계권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기업질서와 징계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기업의 경영목적을 위해 불가결하게 요청되는 기업질서를 정립하고 근로자의 기업질서 위반행위에 대하여 견책,..
징계 징계
Ⅰ. 서설
1. 기업질서와 징계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기업의 경영목적을 위해 불가결하게 요청되는 기업질서를 정립하고 근로자의 기업질서 위반행위에 대하여 견책, 경고, 감급에서 해고에 이르기까지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