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몇 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불법적인 노동행태를 가지고 일부 언론에서는 부당노동행위로 오용하는 예가 있어,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사용자가 할 수 없는 부당노동행위의 몇가지 유형을 규정하고 있는 바, 이하에서는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요건과 각 유형에 따른 사례를 노동위원회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부당노동행위 유형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유형으로는 ① 불이익취급, ② 불공정계약의 체결, ③ 단체교섭의 거부, 해태, ④ 지배, 개입, ⑤ 보복적 불이익 등이 있다.
Ⅲ. 불이익취급
1. 의 의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조직, 정당한 노동조합 업무를 위한 행위, 정당한 단체행동에 참가한 것을 이유로 하거나 노동위원회에 사용자를 신고, 증언, 증거제출 등을 이유로 해고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행위
2. 부당노동행위로 판단한 사례
가. 조합원에게만 승무시간을 엄격히 통제한 행위
사용자가 비조합원에게는 12시간 맞교대로 승무하게 하여 상당액의 월수입을 보장해 주면서, 조합원에게는 7시간 20분만의 근무를 하도록 엄격히 통제하여 성과수당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임금만 지급하는 것은 초과근로를 인정하지 않는 불이익을 주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부당한 차별대우라 할 것이고, 이는 정당한 사유 없이 조합원에 대하여만 불이익을 주는 행위로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나. 서약서 작성 거부시 불이익을 당할 수 있고 그 내용이 노조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는 경우
....
부당노동행위의 판단 현행 노조법상 부당노동행위의 판단 기준에 대한 연구
Ⅰ. 들어가며
사업장 내에서 사용자가 노동조합의 활동을 정상적으로 보장하지 않을 경우 노동조합은 사용자에 대하여 부당한 노동조합활동에 대한 구제와 ..
부당노동행위의 유형과 구제제도 본 자료는 부당노동행위의 유형과 구제제도에 대해 소개한 자료로 부당노동행위의 개념,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5가지(불이익 대우, 황견계약, 단체교섭거부, 보복적 불이익 취급, 행정소송),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부당노동행위의 유형으로서 불이익 취급 부당노동행위의 유형으로서 불이익 취급
Ⅰ. 서
1. 부당노동행위 중 불이익 취급의 개념
부당노동행위란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3권을 침해하는 행위이고, 부당노동행위 중에서 사용자의 근로자의 근로3권 행사에..
불이익취급 유형의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검토 불이익취급 유형의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검토
1. 불이익취급의 성립요건 중 정당한 조합활동
“노동조합법 제39조 제1호소정의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란 일반적으로는 노동조합의 정당한 활동..
부당노동행위 유형 중 불이익취급의 성립 사유 부당노동행위 중 불이익취급의 성립 사유 검토 (노조법)
1. 의의
노조법81는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고 하였거나/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
부당노동행위유형으로서의 지배 개입 및 경비원조 부당노동행위 유형으로서의 지배개입 및 경비원조
Ⅰ 서
1. 부당노동행위 중 지배개입 및 경비원조의 개념
부당노동행위란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3권을 침해하는 행위이고, 부당노동행위 중에서 사용자가 노조를..
부당노동행위제도 총정리 부당노동행위제도 전반에 대한 연구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개요 전반
Ⅰ. 부당노동행위의 의의와 특색
1. 의 의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의 근로3권 실현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침해 내지 간섭행위를 부당노동행..
노조법 81조 부당노동행위 유형 중 단체교섭거부 부당노동행위 유형 중 단체교섭거부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노조법 81조에서는 노동조합의 대표자 또는 노동조합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자와의 단체협약체결 기타의 단체교섭을 정당한 이유없이 거부하거나 해태..
부당한 표시광고의 유형 부당한 표시 광고의 유형
1. 들어가며
부당한 표시•광고행위라 함은 사업자가 상품 또는 용역에 관하여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는 내용을 표시•광고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부당노동행위유형의 해석 및 적용에 대하여 노동법상 부당노동행위 유형의 해석 및 적용
Ⅰ. 들어가며
부당노동행위란 사용자에 의한 근로3권 침해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채택된 개념으로서 특히 우리나라의 법정 부당노동행위제도는 헌법에 명시된 근로3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