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사물의 가치나 수준 따위를 평하는 것, 또는 그 가치나 수준
2. 국어 교육 평가의 필요성
평가는 오랫동안 학생의 실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
점수에 따른 줄 세우기식 평가는 학생의 국어 능력이 어느 부분에서 취약하며, 어느 부분을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결여된 것이다.
학생들의 국어 능력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3. 국어과 평가 방법의 종류
선택형 평가
주어진 몇 개의 선택지 중에서 물음이나 지시가 요구하는 답을 선택하도록 문항을 활용하여 평가하는 것.
◆ 선택형 평가의 장점
① 채점상의 객관성을 보장한다.
② 광범위한 영역의 교수, 학습 목표의 성취도를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짧은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다.
③ OMR 카드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로 채점할 수 있다.
④ 대단위 검사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선택형 평가의 단점
① 문항 구성이 어렵다.
② 답이 왜 맞았는지 또는 왜 틀렸는지를 진단하기 어렵다.
③ 창의력이나 문제 해결력 등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④ 교수 학습을 개선하고 학생을 지도 조언하기 위한 구체적 정보 습득이 어렵다.
⑤ 평가 결과가 학생의 전체적인 언어 능력을 드러내지 못한다.
◆ 바람직한 선택형 문항
· 서로 다른 글을 읽고 연결시키거나, 글의 내용과 일상적인 경험을 연결시켜 그것을 새로운 차원의 지식이나 깨달음으로 유도할 수 있는 선택형 문항.
· 선택지를 통해 다양한 사고 내용을 제시하면서 사고 과정 유발한다. 서로 다른 유형의 사고 내용을 제시할 수도 있으며, 사고의 과정을 순서대로 제시할 수도 있다.
....
국어교육0 국어과 화법 교육 방법․평가 화법 교육과정 분석
[내용요약]
1. 국어과의 화법 교육 방법
(1) 화법 교육 방법
화법 교육은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말하기듣기 능력을 신장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
국어과_평가 -제5장-
국어과 평가
1. 평가란
평가의 사전적 의미는 ①물건 값을 헤아려 매기는 것, 또는 그 값, ②사물의 가치나 수준 따위를 평하는 것, 또는 그 가치나 수준이다.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후자의 의..
국어교육론_제4장_내용요약 1. 국어과 교수․학습 현상이란
가. 정의
1) 국어과 수업시간에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일어나는 의도적 활동
2) 국어 교육과정의 1차 구현 교재인 국어 교과서를 가운데 두고,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이루어내는 생..
언어기능_교육_철학의_비판적_재검토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1. 문제의 제기
언어기능교육은 5차 교육과정 이후 국어교육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고, 그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와 교육 내용..
교육론_국어_ 쓰기 교육 방법과 평가 쓰기 교육과정 분석
◆ 쓰기 교육 방법과 평가
쓰기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1)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향
(1) 결과 중심 쓰기 지도
결과물인 글을 중심으로 하는 쓰기 지도의 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