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제 고용이란 근로계약기간이 일정한 기간으로 한정되어 있는 근로형태를 말한다. 사회에서는‘계약직’,‘임시직’등의 용어가 쓰이며, 법에서는‘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이라는 표현을 쓴다. 정해진 그 기간 동안은 고용을 보장받지만 그 기간이 지나면 해고 등의 별다른 조치 없이 근로계약은 자동 종료되고, 근로자는 직장을 떠나야 한다.
이에 대비하여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이하‘무기근로계약’이라고 약칭한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정규직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여기서 기간의 정함이 없다는 것은 고용보장을 받는 기간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따로 근로계약기간을 한정하지 않고 정년의 기간까지 종신고용이 보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근로관계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징계해고나 경영해고라는 엄격한 절차를 거쳐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간제 고용은 현실에서는 계약직, 임시직, 일용직, 촉탁직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위 용어들은 각자가 고정되고 분리된 개념의 영역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많은 부분 서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현실의 용례에서는 약간의 구별이 가능하다.
우선 일용직은 근로계약의 체결과 종료가 매일매일 반복되어 이루어지고 임금도 매일 지급되는 고용유형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일단 나머지 용어들과 구별된다.
....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 체결 법적 검토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 체결 법적 검토 (노동법)
1. 근로계약체결의 방법
사용자는 근로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다(기단4①).
이 경우..
고용의 유연화에 대한 인사관리상 검토 고용의 유연화에 대한 인사관리상 검토
1. 기간제
근로계약기간이 일정한 기간으로 한정되어 있어 근로형태르 말한다. 계약직·임시직·일용직·촉탁직 등이 있으며, 법에서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이라 한..
비정규직에 대한 노동법적 쟁점과 새로운 해석론의 모색 비정규직에 대한 노동법적 쟁점과 새로운 해석론
Ⅰ. 기간제 고용
1. 기간제 고용의 의의와 유형
기간제 고용이란 근로계약기간이 일정한 기간으로 한정되어 있는 근로형태를 말한다. 사회에서는‘계약직’,‘임시..
기간제 근로와 관련된 쟁점 기간제 근로와 관련된 쟁점
1. 들어가며
근로기준법 제23조에서는 근로계약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것과 일정한 사업완료에 필요한 기간을 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기간은 1년을 초과하지 못한다 라고 명시하..
고용보험제도 일반 총정리 고용보험제도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1. 고용 보험의 개요
Ⅰ. 서
1. 고용보험법의 목적
이 법은 고용보험의 시행을 통하여 실업의 예방, 고용의 촉진 및 근로자의 직업능력의 개발․향상을 도모하고, 국가의 ..
합리적인 고용조정방안 전반의 검토1 고용조정방안 전반에 대한 검토
Ⅰ. 고용조정의 의의
고용조정이란 기업이 고용관계에 있는 근로자 수 조정, 고용형태 조정, 근로시간, 임금 조정을 통하여 과잉인력을 해소하고, 인력관리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
비정규직보호법의 시행과 HR 전략의 변화 비정규직보호법의 시행에 따른 인사관리 전략 전반의 변화
1. 들어가며
비정규직보호법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법’과 ‘파견근로자보호법’으로서 기간제와 단시간, 그리고 파견근로자를 그 보호대상으로 ..
근로형태의 다양성과 사용종속관계의 판단기준 근로형태의 다양성과 사용 종속관계의 판단 기준(노동법)
사용 종속관계의 법적 성격과 판단 기준
사용 종속관계의 판단 기준
그러한 중요한 유형으로 기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간접고용 근로자와 같은 특수..
간접고용의 법적 문 제 점검토 간접고용의 법적 문제점 검토
1. 들어가며
간접고용의 가장 큰 문제는 파견법상의 사용사업주 또는 직업안정법상의 사용사업자가 노동법상 사용자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2. 파견계약의 해지
사용사업..
불법파견 판정시 행정적 법적 조치에 대한 검토1 불법파견에 대한 행정적 / 법적 조치
1. 행정적 조치
기본적으로 불법파견 판정 시 파견근로자등의 고용안정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1) 파견사업주등의 실체가 부인되는 경우
이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