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공개제도의 의의
: 행정청을 비롯한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각종의 정보를 일정한 요건하에 공개하는 것을 말함.
2. 관련법률
: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제정 1996.12.31 법률 제5242호](주요내용)
1) 제정목적 :이 법은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의 공개의무 및 국민의 정보공개청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국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
2) 정보공개의 의의 : 정보 라 함은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서․도면․사진․필름․테이프․슬라이드 및 컴퓨터에 의하여 처리되는 매체 등에 기록된 사항을 말한다. 공개 라 함은 공공기관이 이 법의 규정에 의하여 정보를 열람하게 하거나 그 사본 또는 복제물을 교부하는 것 등을 말한다. 3. 공공기관 이라 함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투자기관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을 말한다(제2조).
3) 정보공개의 원칙 :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는 이 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개하여야 한다(제3조).
4) 적용범위 : ①정보의 공개에 관하여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②지방자치단체는 그 소관사무에 관하여 법령의 범위안에서 정보공개에 관한 조례를 정할 수 있다. ③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되는 정보 및 보안업무를 관장하는 기관에서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정보분석을 목적으로 수집되거나 작성된 정보에 대하여는 이 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제4조).
....
정부 정보관리의 문제점(행정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 문제, 행정정보화) 정부 정보관리의 문제점(행정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 문제, 행정정보화)
목차
정부 정보관리의 제 문제
Ⅰ. 정보공개와 개인정보 보호 문제
1. 행정정보의 공개 문제
1) 정보공개의 의의
2) 정보공개의 ..
관리에서 개인정보보호와 정보공개 찬반 논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입장 감염병 관리에서 개인정보보호와 정보공개 찬반 논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입장
감염병 정보가 공개되면, 개인들도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더 신중하게 행동할 수 있다.
반면, 감염자의 개인정보가 과도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