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인성감염: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이며 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외인성 감염: 외부에 있는 균이 들어와서 생기는 감염이며, 진료의 목적으로 쓰이는 여러 가지 처치와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구나 물품, 혹은 의료인이나 환자의 피부나 손에 있던 정상 상재균이나 일시적인 오염균에 의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발생된는 감염을 말한다.
-병원감염(Hospital acquired infection, nosocomial infection)이란 병원이라는 환경에서 얻은 감염을 의미하는데, 입원 이전 감염되지 않았던 사람이 입원 후 병원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 발생하거나 이미 지니고 있던 내인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 감염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48~72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한다. 입원당시 잠복상태가 분명치 않는 경우 일단 병원감염으로 생각하며, 입원 시 나타난 감염이라도 과거 입원과 관련이 있으면 병원감염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입원당시 있었던 기존의 감염증이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는 병원감염으로 보지 않는다.
....
감염관리 감염관리 연구레포트입니다.
레포트의 방향성과 내용에 대해 교수님에게 창의적이라는 칭찬을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참고하신다면 생각을 많이 해보았다고 칭찬 받을수있을거라 생각합니다.
1. 감염의 개념
2...
요로감염의 예방과 요실금 관리 요로감염의 예방과 요실금 관리
1.요로감염의 예방방법
①UTI의 이해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는 남성의 0.1%에 비해 여성은 20%가 경험하고, 병원감염의 40%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UTI는 장내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