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감염은 입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입원비용을 증가시키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병원감염에 의한 사망률이 35%까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중환자실의 감염 발생률은 10-65%, 그로인한 사망률은 13-55%이다. 중환자의 대부분이 질환의 중증도가 높은 상태로 오랫동안 병원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고, 면역체계의 변화가 많으며, 각종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여 내성균에 의한 감염 위험이 높고, 침습적인 각종 치료 장치의 이용 등으로 원내감염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특히 여러 처치로 말미암아 의료진과 환자가 빈번히 접촉함으로 교차 감염의 기회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중환자실의 원내 감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철저한 감염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론
■ 병원감염의 원인균
1) 정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중의 하나로 그 중에서 penicillin계 항생제인 methicillin(또는 oxacillin, naf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돌연변이 균을 말한다.
황색 포도상구균으로서 병원성 세균이며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 피부감염 뿐만 아니라 폐렴, 패혈증 등 중증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1.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2) MRSA 감염증
․ 폐렴, 폐화농증, 농흉과 같은 호흡기감염증
․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균혈증은 혈관내 카테타 삽입한 경우
․ 소화관 절제 수술환자에서 백색 대변과 심한 설사를 동반하는 장관감염증
․ 난치성 욕창, 창상감염
3) 감염부위
....
중앙대학교병원 간호사-간호부(신생아중환자실)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중앙대학교병원 간호사-간호부(신생아 중환자실)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예민한 감수성과 집중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로서 갖추고 싶..
[의료사회복지] 내과계에서의 의료사회복지실전 [의료사회복지] 내과계에서의 의료사회복지실전
I. 개입 임상과와 주요 개입범위
사회복지사가 주로 관여하는 내과계의 개입내용을 유형화하면 다음과 같다.
․ 소화기내과 : 간경화 혹은 간이식 환자의 지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