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론
Ⅱ. 한국의 대동북아지역 무역구조
Ⅲ. 한국의 대동북아지역 경제협력
Ⅳ. 한국의 중소기업의 역할
Ⅴ.결론
Ⅰ.序論
최근의 국제경제는 世界主義(globalism)와地域主義(regionalism)의 두가지 물결이 混在하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GATT-IMF체제가 추구해 나가던 자유무역주의와 국제경제의 世界化는 WTO의 출범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세계 도처에서 지역주의에 바탕을 둔 경제통합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유럽에서는 EC와 EFTA가 결합하여 유럽경제지역(EEA)으로 확대되고 北美洲에서는 NAFTA가 창설되었으며 亞太地域에서는 APEC의 활동이 점차 강화됨은 물론 東北亞 경제권의 구성이 논의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국제경제의 현실이다.
이러한 국제경제의 지역주의화는 그 타당성여부를 떠나 貿易의創出및轉換, 생산 요소의 이동과 규모의 경제 효과등을 통해 해당지역뿐 아니라 세계경제 전체에 미치는 효과가 실로 지대하다고 하겠다. 對外依存度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구조로 볼때 우리는 지금 나타나고 있는 국제경제의 지역주의 움직임을 거부할 수는 없을 것이며 오히려 이러한 추세를 예의분석하고 적절히 대응해가는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는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우리나라와 동북아지역의 경제협력과정에서 기대되는 중소기업의 역할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동북아지역은 역내국가의 人的資源,資本,技術,天然資源 등의 부존상태와 경제환경이 서로 보완적 성격이 강해 경제교류가 확대될 경우 그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될 뿐 아니라 경제체제가 상이한 국가간의 共同繁榮을 위한 협력이라는 의미에서 경제적 의미이상의 정치적․문화적 의미도 내포
....
동북아 경제협력 동북아 경제협력
동북아 지역의 경제와 경제협력 현황
동북아 지역의 경제협력 범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나 여기에서는 남․ 북한, 일본, 중국의 동북 3성, 러시아 극동지역을 주된 대상으로 삼고자 한..
(논문)동북아 물류중심지 건설 국가발전전략의 새로운 Paradigm: 동북아 물류중심지 건설
A New Paradigm for a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Building a Logistics Center in Northeast Asia
- 차 례 -
I. 머리말
II. 물류의 세계적 ..
서평 - 허브 한반도
제목 : 허브 한반도
지은이 : 현대경제연구원 지음
최근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동북아 지역경제의 비중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이미 일본과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 여러 나라들이 각기 자국이 경제 중심지로 ..
[현황과전망] 경북대 전남대 학생교류현황 및 성과 1. 배경 및 목적
• 전남대학교에서는 영호남의 지역갈등을 해소하고 지역간 교류를 활 성화시키기 위하여 1999년부터 경북대학교 및 울산대학교와 대학생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대학생 교류 프로그램..
한러경제협력-국제협상 TKR과 TSR간 연계와 한러 경제협력
CONTENT
서론
경제협력 필요성
본론
TSR과 TKR간의 연결 가능성 모색
남.북.러의 입장
한러 상호 협력 및 철도연결의 기대효과
결론
서론-경제협력의 필요성
서로간의 경제..
동북아지역 통합과 경제협력의 성과 및 내용 문제점 조사분석 Report
( 동북아지역 통합과 경제협력의 성과 및 내용 문제점 조사분석 )
목 차
1. 경제통합모델 및 동북아경제협력 모델의 검토
2. 동북아시대 구상의 평가
3. 동북아지역통합의 신모델
4 한국의 동북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