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사회

1. 조선시대사회.pptx
2. 조선시대사회.pdf
조선시대사회
새로운 관점에서 본 ‘妾’
처첩갈등-양반의 처와 첩
1. 조선시대의 처와 첩

조선시대의 처첩질서(妻妾秩序)
유교

남편
첩(妾)
노비
노동력
처(妻)의 확고한 위치
조선시대의 부부는 우호적인 관계.
국가의 적극적인 노력.
처(妻) 집안과의 관계 중시.
처(妻) 와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면서 사회적으로 공동 이익을 얻는 게 더 현실적.
안채
사랑채
조선시대
양반
가옥구조
고전에 형상화 된 처와 첩
善惡처첩
본 조의 발표
현대의 수많은 문학작품들이 현실을 투영하지만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현실을 소재로 삼는 경우는 드문 것처럼, 고전 작품들도 당대의 현실을 투영하지만 그 당시의 일반적인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따라서 고전 작품들에 나타난 처첩 갈등이 조선시대의 모든 처와 첩 사이의 일반적인 관계일 것이라고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사씨남정기
인현왕후전
2. 사씨남정기
『사씨남정기』의 작가, “김만중”
호: 서포(西浦)

1665년 정시문과에 장원

1671년 암행어사

1672년 동부승지

1679년 예조참의

1683년 공조판서

1685년 홍문관대제학

1686년 지경연사


《구운몽》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서포만필(西浦漫筆)》
《서포집(西浦集)》
《고시선(古詩選)》

『사씨남정기』줄거리
명나라 가정 연간에 금릉 순천부에 살고 있는 유현은 벼슬이 이부시랑 참지정사에 이르고 명망이 조정과 민간에 두루 이르렀으나, 애석하게도 슬하에 일점혈육이 없었다. 그 뒤 노년에 비로소 한 아들을 얻어 이름을 연수라 하였다. 연수의 나이 15세에 과거에 올라 한림학사가 되었으며, 숙덕(淑德)과 재학(才學)을 갖춘 사씨를 정실로 맞았다. 그러나 결혼한 지 10년이 지나도 자녀가 없었다. 사씨는 후사가 없을 것을 염려하여 한림을 설득하여 교씨를 맞아들였다. 하지만 교씨는 음흉하기 짝이 없어서 사씨를 모함했고, 이에 한림은 사씨를 내쫓았다.
『사씨남정기』줄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