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 아는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에서 허생이 10년 기한으로 하던 공부를 팽개치고 집을 나서는 계기는 장인바치일도 못 한다, 장사도 못 한다면, 도둑질이라도 못 하시냐 는 아내의 질타를 듣고서이다. 천하를 경륜하기 위한 공부에 몰두하느라고 가정 경제는 소홀히 했던 탓에 참고 참던 아내는 급기야 울음 섞인 소리로 과거도 안 보면서 글을 읽어 무엇 하느냐는 물음을 던졌던 것이다. 이 말을 듣고 집을 나간 허생은 변 부자의 집을 찾아가 만 냥을 빌려 매점매석으로 거금을 벌어서 도둑을 구제하고, 빚을 갚은 뒤에 다시 집으로 돌아가 글을 읽는다. 허생이야말로 실물 경제뿐만 아니라 당대의 정치적 현실에도 대단한 식견을 가진 인물로, 거시적인 안목을 가진 지식인이라 할수 있다.
그런데 주목되는 것은 허생이 아내의 질타를 듣고 집을 나가 백만 냥을 벌어들이는 동안 정작 그 아내를 철저히 외면했다는 사실이다. 그 아내가 허생이 죽은 줄로 알고 5년간 제사를 지낼 정도로 허생은 집을 나간 뒤단한 번도 아내를 찾아가지 않았을 뿐더러 한 푼도 보내지 않았던 것이다. 백만 냥의 돈을 벌어 도둑들을 구제하고, 변 부자에게는 빌린 돈의 10배나 되는 돈을 되돌려 주는 동안 가정 경제를 위해서는 단한 푼의 돈도 쓰지 않은 허생. 심지어 변 부자가 돈을 모두 돌려주려 했을 때에도 이를 단호히 거절하고 양식과 의복이나 떨어지지 않게 챙겨주면 족하다고 했던 허생. 그렇다면 허생은 이처럼 가정 경제는 철저히 외면하면서 무엇을 위해 돈을 벌었을까 그가 결코 경제에 무능하지 않다는 것을 아내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마음만 먹으면 이 정도 성과는 올릴 수 있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해서
....
정만조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친일 유림의 거두, 무정 정만조(鄭萬朝)
- 무정 정만조의 친일행위 평가 -
- 목 차 -
Ⅰ. 서 론
Ⅱ. 문사출신의 신진관료 세력
Ⅲ. 굴절된 삶의 원인을 제..
한국의 전통 의복 1 남성복
남자의 저고리는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저고리보다 길어 허리나 그 밑에까지 내려왔으며 여성들의 저고리와 마찬가지로 가슴 앞쪽의 끈으로 묶었습니다.
바지는 최초에는 말을 타고 사냥하기 편하도록 통..
홍길동전의 기본적 이해 1.허균의 생애
(1) 가문
허균 (1569~1618)은 본관이 양천(陽川)이며, 경상감사 허엽(許曄)의 3남 2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우성전(遇性戰)의 부인인 큰누나와 맏형 성(筬)은 이복(異腹)이며, 둘째 형 ..
사자성어의 이해 - -焚書坑儒[분서갱유]에 대해서 사자성어의 이해
-焚書坑儒(분서갱유)
1.정의
焚書坑儒(불사를분, 글서, 묻을갱, 선비유): 진나라 시황제가 정부를 비방하는 언론을 봉쇄하기 위하여 서적을 불사르고 선비를 생매장한 일을 이름
책을 불사르고 ..
[레포트] 論語 속의 仁에 대한 小考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
論語 속의 仁에 대한 小考
1. 들어가며
사람들은 쉽게 이런 질문을 하곤 한다. “당신의 좌우명은 무엇인가” 언제인가부터 나는 그런 질문에 이렇게 대답하곤 했다 “사람 인(人)자 여섯이 ..
강경애의 인간문제 문학으로 만나는 역사 / 27
강경애의 인간문제’
이 인간 문제! 무엇보다도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인간은 이 문제를 위하여 몇천만년을 두고 싸워왔다. 그러나 아직 이 문제는 풀리지 않..
[독후감]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을 읽고 - 임제 원생몽유록 (元生夢遊錄) - 임제
1. 줄거리
주인공 원자허는 가난하지만 정의로운 선비이다. 가을밤에 달빛을 이용하여 독서를 하다가, 밤이 깊고 정신이 어지러워 책상에 기대어 잠이 듦으로써 원자허가 몽중에..
우리나라 문화의 특성과 발전 방향 우리나라 문화의 특성과 발전 방향 (사회 문화)
1. 명예 존중의 문화
명예란 자기의 도덕적 ․ 인격적 존엄에 대해 자각하고 타인의 그것에 대해서도 승인 ․ 존경 ․ 칭찬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예를 존중하는 문..
일본과 조선의 문화 충돌 사례와 원인 분석 -목차-
1.들어가는 말
2.단발령으로 인한 문화적 충돌과 그 원인
3.창씨개명으로 인한 문화적 충돌과 그 원인
4.나오는 말
참고문헌
1.들어가는 말
일본과 우리나라는 예부터 다양한 역사와 문화에 교차를 지녀..
한국미술사 I. 序
14세기말 이전의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미술은 각기 다른 특성을 보여 준다. 삼국시대의 미술은 다양하게 발전하였으나 고분 중심의 예술이다. 고분 내부의 벽화 및 부장품에서 그 시대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