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초원에서 바람처럼 일어나 대제국 원을 건설한 몽골.
고려 또한 몽골의 말발굽에 짓밟힌 채 90여 년을 신음했다. 그러나 중국의 정세가 급변하고 원이 쇠퇴하자 고려는 반격을 시작했다.
고려는 1356년 압록강 너머 파사부를 치고 쌍성총관부를 회복한다. 그리고 1370년 여름 올랄산성을 공파하고, 마침내 요성을 공략해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는다. 고구려의 영광을 고려 공민왕이 되살리는 순간이었다. 고구려가 망하면서 우리가 잃어버린 만주벌은 발해의 멸망과 함께 우리 역사에서 영원히 사라진 땅이었다. 고구려 전사들이 넘나들던 드넓은 만주 벌판을 고려말 공민왕이 북벌을 단행하여 수복한 것은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이다.
★정벌지 요동의 심장부 요동성을 찾다
고려는 건국할 때부터 고구려의 옛땅, 만주를 찾으려고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러나 그 꿈은 실현되지 못하다가 고려말에야 공민왕에 의해 비로소 이루어졌다. 공민왕 때라면 고려가 90년간 원의 지배를 받던 때다. 세계 제국 원에 시달려 고려의 국력이 극도로 쇠약해진 당시 공민왕은 마침내 압록강을 넘어 요동을 장악하고 두만강으로 진출하여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았다.
공민왕의 요동 공략을 『고려사』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고려군이 압록강을 건너 요성을 함락했다.
요성은 어디일까 중국 요녕성 요양시가 요동의 심장부였던 요성이다.
수 양제의 100만 대군을 격파한 고구려의 요동성도 바로 요양이다.
사통팔달의 요지인 요양의 전략적 가치 때문에 공민왕은 이곳을 친 것이다.
....
1950년대 전쟁후 한국 문학의 특징과 배경 1950년대 전쟁후 한국 문학의 특징과 배경
1. 1950년대 문학의 배경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체제로 접어든 세계에서 구축되었다. 공산주의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 간의 대립은 미국과..
태백산맥최종 ▣ 서 론
작품 선택 동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한 역사 드라마의 감상문을 쓰기 위해 여러 편의 영화들을 찾기 시작하였다. <이재수의 난>, <영원한 제국>,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등의 후보작..
패왕별희완결판 영화 ‘패왕별희’를 보고...
1. 역사적 배경
영화 패왕별희는 1977년 북경을 첫 배경으로 1924년부터 1966년 문화혁명을 거쳐 영화 속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인공들의 일생을 회고 형식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