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11-병원클린룸2

1. f111-병원크린룸2.doc
2. f111-병원크린룸2.pdf
f111-병원크린룸2
4. 병원 클린룸의 구조 분류

4.1 덕트 순환형과 국소 순환형
덕트 순환형은 기계실에 공조기가 있고, 국소 순환형은 실내에 공조기가 있는 형태를 말한다. 요즈음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소 순환형의 클린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① 덕트에 의한 균의 전이가 없다.
② 멀티 에어컨 등이 일반화되어 실내 기기의 소음, 유지 관리성이 향상되고 있다.
③ 청정도를 필요로 하는 방이 많아졌으며, 그때마다 기계실을 설치할 수 없다.
④각 실마다 온도, 풍량 제어가 가능하다. 에너지 절약으로도 연결된다.
⑤ 에어 벨런스는 환기 덕트만으로 하기 때문에 조정하기 쉽다.
⑥ 복도 천장이 과밀해서 덕트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4.2 층류형과 난류형
층류형 클린룸은 내과계에서는 수평형이, 외과계에서는 수직형이 압도적으로 많다. 난류형이나 그밖의 경우, 천장 흡입으로 되는 경우가 많아 취출풍속을 빠르게 해서 순환 효율을 높이고 있다.

4.3 양압 격리와 음압 격리
감염 환자에게는 양압 격리, 또 감염증 환자에게는 음압 격리를 실시해 공기 감염을 차단한다. 모두 독방 격리이다. ICU 등에서는 각 방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양, 음압 호환형인 클린룸인 경우도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좋아 보지만, 사용 도중에 불안해 질수 있고, 멸균 소독을 완벽하게 한다는 전제 조건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설계시에 사용자측과 충분히 장단점을 판단해서 설비해야 할 것이다. 가끔 ICU 환자가 MRSA에 걸리기도 하고, 감염 환자가 감염증을 동시에 앓는 경우도 있으며, 음압인 클린룸의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전실을 설치하면 격리가 효과적으로 된다. 전실은 양압형과 음압형이 있는데, 양압형은 전실을 양압으로 하고, 감염실과 복도에 정화된 공기를 내보내는 것이고, 음압형은 전실을 음압으로 해서 감염실과 복도에서 공기를 들여온다.

4.4 축조식과 유니트식
범용 공조 기기를 조합해 시공하는 현장 시공형인 축조형은 그 다양한 요구에 대한 적응성은 높지만, 일체화된 형태의 다기능, 콤팩트, 안정성, 단공기에 뛰어난 공장 제작형인 유니트식이 많아지고 있다.

4.5 다기능형의 클린룸

4.5.1 음압식 클린룸
....
f111-병원크린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