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관제 투입량
정보/기술
>
기타
청관제 투입량
PDF
2009.04.28
5페이지
1.
청관제투입량.pdf
청관제 투입량
청관제 투입량 및 약주 펌프 조절 방법
2002.11.15
삼양 보일러㈜ 기술 개발부
청관제 투입량 선정서
1 BOILER NAME: 2 BOILER CAPACITY :3 WORKING PRESS. :4 약주 펌프 :5 약주 탱크 용량 6 약주펌프 용량 :7 급수펌프용량 :8 [계산식] 관류형 보일러 17 50 25 T/HR KG/Cm2 lit ㎖/min
AX1 - 21
2080 ℓ/hr
(정상적인 사용압력에서의 실제 급수량 )8.1 청관제 사용량 산정(1시간 연속 가동시) 보일러의 용량(T/H) * 가동 시간(HR) *1.1* 주입률(PPM)
=
1000 (환산 계수) 1*1 1100 =*=0.1364 LIT/HR =2.27 * 150
=
㎖/min
1일 평균 8시간 , 한달 25일 가동시의 약품 소모량은 0.14 *8* 25 = 27.27 LIT/MONTH
8.2 약주 펌프의 가동시간에 따른 투입량(급수 펌프 연동시) 청관제 사용량(LIT/HR) * 펌프급수량(LIT/HR) 0.136 * 1000 ㎖/HR 2080
=
=
보일러 증발량(LIT/HR) =0.284 LIT/HR = 283.6
* 이것은 약주 탱크에 원액을 투입했을때의 용량이고, 실제는 청관제 자체 점도가 있어서 약주 장치를 통하여 주입할 경우 물과 1:1로 희석하여 투입 합니다.(투입을 원할히 하기 위해) 이때는 약품 투입량을 배로 하여야 합니다.
8.3 약주 펌프의 실투입량 및 다이얼 눈금 조정 1) 약주 펌프의 실제 투입량(물1:1로 희석된 약품) == 283.6*9.45 2㎖/min = 567.3㎖/HR
2) 약주 펌프의 다이얼 눈금 조정
*
....
기관운전일지(석박사)
기관운전일지 (석박사) 결재 주임 담당 20 년월일 요일 일기 호기별 적요 제1 호기 제2 호기 제3 호기 제4 호기 제5호기 전압 및 전류 전압 V 송풍기전류 A 버너전류 A 급수펌프전류 A 연료의종류 연료공..
강당운전일지
강당운전일지 결 재 주임 담당 과장 200 년월일 요일 일기 구분 가스압력 및 안전장치 중기 압력 매연 농도 수영장 온도 메타기지침 단위 1차압력 2차압력 경보기 실온 수온 급수 ..
강당운전일지
소속기관 강당운전일지 결 재 주임 담당 과장 년월일 요일 일기: 구분 가스압력 및 안전장치 중기 압력 매연 농도 수영장 온도 메타기지침 단위 1차압력 2차압력 경보기 실온 수온 급수 배기 실내 급탕 외기 ..
기관일지
기관일지 결 재 담당 기관주임 관리소장 20 년월일 날씨 외기온도 최고 ℃ 최저 ℃ 보일러가동시간 시간 회수 1호보일러 2호보일러 열교환기온도 (℃) 구분 회수 SR온수탱크온도 (℃) 구분 ..
기관운전일지
기관운전일지 20 년월일 요일 날씨 결 재 주임 담당 과장 항목 가스압력현황 연료현황 증기 압력 급수 온도 1차 공기 배기 가스 실내 온도 외기 온도 매연 농도 METER 지침 1차압력 2차압력 지침 사용량 구분 ..
장비사용료내역
장비사용료내역 현장명 : 장비명 규격 단위 단가 투입량 () 월분 비고 사용량 금 액
가설자재사용료명세표
가설자재사용료명세표 현장명: 품명 규격 단위 단가 투입량 ( )월분 비고 (재고량) 사용량 금액
가설자재사용료명세표
가설자재사용료명세표 현장명: 품명 규격 단위 단가 투입량 ( )월분 비고 (재고량) 사용량 금액
과세물품소요명세서
과세되는 물품의 소요량 파악을 위해 구입량, 투입량 등의 항목을 기재하는 과세물품소요명세서 서식입니다. 1. 판매장(제조장)소재지 2. 상호(법인명) 3. 원료 원료명, 규격, 구입량, 이월량, 잔량/ ..
관급자재수불보고
관급자재수불보고 (현장명: ) 품명 규격 단위 관급예정량 인수량 공사투입량 잔량 (재고) 비고 당초 설계 변경 설계 계 기입고 금월 계 기투입 금월 계
청관제 투입량
당좌 계정거래 신청서
국민연금 급여의 종류와 급여수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현황 분석 및 신(新)문화 온라인 게임 작업장 ..
원버튼 프린세스라인 자켓 의류패턴
업무 추진시의 위험요소 관리단계
2025 라포랩스 패션 AMD 자기소개서 지원서와 면접자료
북중 관계와 한반도 통일문제에 대한 총체적 조사분석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관련 판례 동향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