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을 다녀와서[한국복식사에 대해서]

1. [답사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을 다녀와.hwp
2. [답사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을 다녀와.pdf
[답사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을 다녀와서[한국복식사에 대해서]
한국복식사
‘적의’

적의는 왕비와 왕세자빈을 비롯하여, 왕대비나 대왕대비와 같은, 왕실 적통의 여성 배우자들이 착용하는 법복이다. 관복, 명복, 또는 예복이라고도 하였다. 적의는 왕비나 왕세자빈의 혼례인 가례 때 책비의 또는 책빈의, 그리고 친영의와 동뢰연 등에 착용되었다. 그 외에 조하의나 궁중연회에도 착용되었으며 제복으로, 그리고 흉례 시 대렴의로도 사용되었다. 왕이 면복이나 원유관복을 입을 때는 물론, 곤룡포를 착용할 때에도 적의를 입는 경우가 있었다.
적의는 왕실 여성의 신분에 따라 색상이 달리 적용되었다. 왕비는 대홍색 적의를 착용하는 반면에, 왕세자빈은 아청색 적의를 착용하였다. 17세기 후기인 숙종대에는 대왕대비의 적의에 자적색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18세기 후기 정조대에는 혜경궁 홍씨의 적의에 천청색을 사용하기로 하는 등, 신분에 따라 적의의 색상이 분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적의 제도의 변천’

우리나라의 적의 제도는 다섯 단계를 거쳐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고려 말인 공민왕 19년(1370)에 우리나라에 왕비의 적의가 수용된 이후, 1403년 조선 태종 때 명나라의 대삼제도가 수용되기 이전 단계에 사용되었던 적의제도이다.

두 번째 단계는 1403년 이후 수용된 대삼과 하피가 사용되었던 시기의 조선 전기의 적의제도이다. 명나라의 제도로 볼 때, 엄밀히 적의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는 제도였으나 조선에서는 고려 이후에 사용되어 온 적의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명나라에서는 조선에 새로운 왕이 즉위하였을 때나 명나라에 특별한 경사가 있을 경우, 조선에 왕의 면복과 함께 명나라의 군왕비나 친왕비의 예복에 해당되는 왕비의 대삼을 보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