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의는 왕비와 왕세자빈을 비롯하여, 왕대비나 대왕대비와 같은, 왕실 적통의 여성 배우자들이 착용하는 법복이다. 관복, 명복, 또는 예복이라고도 하였다. 적의는 왕비나 왕세자빈의 혼례인 가례 때 책비의 또는 책빈의, 그리고 친영의와 동뢰연 등에 착용되었다. 그 외에 조하의나 궁중연회에도 착용되었으며 제복으로, 그리고 흉례 시 대렴의로도 사용되었다. 왕이 면복이나 원유관복을 입을 때는 물론, 곤룡포를 착용할 때에도 적의를 입는 경우가 있었다.
적의는 왕실 여성의 신분에 따라 색상이 달리 적용되었다. 왕비는 대홍색 적의를 착용하는 반면에, 왕세자빈은 아청색 적의를 착용하였다. 17세기 후기인 숙종대에는 대왕대비의 적의에 자적색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18세기 후기 정조대에는 혜경궁 홍씨의 적의에 천청색을 사용하기로 하는 등, 신분에 따라 적의의 색상이 분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적의 제도의 변천’
우리나라의 적의 제도는 다섯 단계를 거쳐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고려 말인 공민왕 19년(1370)에 우리나라에 왕비의 적의가 수용된 이후, 1403년 조선 태종 때 명나라의 대삼제도가 수용되기 이전 단계에 사용되었던 적의제도이다.
두 번째 단계는 1403년 이후 수용된 대삼과 하피가 사용되었던 시기의 조선 전기의 적의제도이다. 명나라의 제도로 볼 때, 엄밀히 적의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는 제도였으나 조선에서는 고려 이후에 사용되어 온 적의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명나라에서는 조선에 새로운 왕이 즉위하였을 때나 명나라에 특별한 경사가 있을 경우, 조선에 왕의 면복과 함께 명나라의 군왕비나 친왕비의 예복에 해당되는 왕비의 대삼을 보냈다.
....
[관람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 관람 보고서 국립고궁박물관 관람 보고서를 통해 조선을 대표하는 화려하면서도 기품 있는 왕실문화유산을 감상하며 우리의 문화적 위상을 느껴보자.
▶궁중회화실◀
조선왕실 에서는 국가의 통치에 활용하고 궁궐을 장식하..
조선 왕실, 국립 고궁박물관과 경복궁 본 자료는 조선 왕실, 국립 고궁박물관과 경복궁을 견학기를 소개한 자료로 견학 장소와 경로, 견학 장소와 내용(국립고궁박물관과 경복궁)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고궁박물관과 경복궁의 문화시설을 평가하였으며,..
경복궁_1
경복궁 답사보고서
5월 25일 새벽에 일어나 졸린 눈을 부비며 국립중앙박물관과 경복궁에서의 견학수업을 위해 원주에서 서울로 향하는 버스를 탔다. 5~6교시 수업을 듣는 나로써는 일본미술명품전을 관람한 ..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 경복궁에 있는 국립 민속 박물관 목 차
Ⅰ.들어가며
Ⅱ.서론
1. 국립민속박물관의 유래
2. 국립민속박물관 관람 일정
3. 국립민속박물관 선정이유
4. 주안점
Ⅲ.본론
1. 우리 조상의 생업
2. 우리 조상의 의·식·주생활
3. 우리 조상의 놀이..
답사계획서, 답사보고서 답사계획서, 답사보고서
1. 답 사 지 : 소쇄원
2. 지 정 별 : 사적 제 304호 (면적 3만 2839평)
3. 위 치 :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
4. 건립연대 : 16세기
5. 답사목적 :
① 소쇄원의 시대적..
한국, 미국, 유럽 다문화 교육사례 본 자료는 한국, 미국, 유럽 다문화 교육사례에 대해 소개한 자료로 한국의 다문화 교육사례로 국립민속박물관 다문화꾸러미, 다음세대재단 올리볼리 그림동화, 미지센터 이주배경청소년 이해교류사업, 하나다문화..
답사 보고서 - 경복궁을 답사하고 나서 답사 보고서 - 경복궁을 답사하고 나서
우리나라에서 누구나 한번쯤은 가봤을 법한 경복궁. 나는 교양과목의 레포트를 위해서 답사하게 되었다. 학교를 다니면서 답사를 가는 건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하루 날을 ..
장영실의 소개 및 특징과 자격루를 통해 본 현대과학과의 연관관계 조사분석 Report
( 장영실의 소개 및 특징과 자격루를 통해 본 현대과학과의 연관관계 조사분석 )
목 차
1 장영실은
2 자격루(自擊漏)에 대하여
3. 자격루의 구조와 작동원리
4 느낀점
5 참고자료
1 장영실은
태..
국립대구박물관견학 박물관학을 들으면서 견학하는 두 번째 박물관이다.
우선 내가 견학했던 국립대구박물관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면 국립대구박물관은 대구・경북지방의 특색 있는 문화 유산을 전시・보존・연구하기 위해 1994년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