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의 내용 및 비판

1. 자본론의 내용 및 비판.hwp
2. 자본론의 내용 및 비판.pdf
자본론의 내용 및 비판
[자본론]의 내용과 비판

1. 자본의 생산과정
1) 가치
인간사회의 기초는 노동이다. 곧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기욕구를 충족시킨다. 인간의 노동을 통해서 생산된 상품은 사용가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용가치란 말 그대로 상품이 가지는 유용성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상품은 사용가치만 가지는 것이 아니다. 상품은 다른 상품과 교환됨으로써 교환가치를 가지게 된다. 나무 1목과 쌀 1가마가 교환될 때 나무 1목의 가치는 쌀 1가마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환이 된다고 해서 나무 1목을 생산할 때의 노동이 쌀1가마를 생산할 때의 노동과 같다고 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나무1목과 쌀 한가마의 교환될 수 있는 것인가 이에 마르크스는 상품의 교환과정에서 나무 1목과 쌀 한가마의 노동이 동질의 비교 가능한 노동으로 환원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동질의 비교가능한 노동을 추상적 노동이라고 한다. 즉 나무 1목과 쌀 1가마가 교환된다는 것은 그 둘의 추상적 노동이 같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의 가치는 사회적 평균적인 조건하에서 그 상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시간(추상적 노동)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2) 잉여가치
잉여가치란 투하된 자본가치에 대하여 자기증식(自己增殖)을 이룩한 가치부분을 말한다. 자본가는 노동자의 노동을 통해서 잉여가치를 생산한다. 즉 초과노동을 통해서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것이다. 잉여가치의 종류에는 절대적 잉여가치와 상대적 잉여가치가 있다. 절대적 잉여가치는 노동시간의 연장으로 인한 잉여가치를 말하고 상대적 잉여가치는 필요노동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잉여가치를 말한다.

3) 노동자계급의 빈곤화
마르크스에 의하면 자본주의에서의 생산성의 지속적인 증대는 자본의 유기적 구성을 고도화 시키고 이윤율의 일반적인 저하를 가져오게된다.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 고도화 될수록 이윤율은 저하되기 때문에 노동력에 대한 착취는 더욱 심해지고 그에 따라 저임금, 고용감소, 실업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4) 모순의 격화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