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욕구’(need)의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욕구와 유사한 개념인 ‘바라는 것’(desire)과의 차이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다.
* 욕구와 바라는 것의 개념 차이 (욕구가 바라는 것보다 중요하다)
① 사람들이 원하는 것 이상의 목표 달성과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가치
- 시장기제에서 자원의 배분 : 주관적 → 실제로 그 사람들에게 만족을 주는지의 여부 불확실하다.
∴ 주관적 desire에 의한 자원의 배분이 진정한 복지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이 적다.
② 목표.
┏ desire에 의한 만족 → 주관적인 이득(benefit)
┗욕구에 의한 해결 → 해악(harm)을 줄이는 것
by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어떤 재화를 새롭게 얻음으로써 얻는 이득(효용)의 증가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재화를 잃게 됨으로써 사라지는 손실보다 작다.
③ 상대적 긴급성 측면
┏ 상대적으로 긴급하다 : 어떤 욕구가 늦게 충족될 때 그 충족된 가치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것.
┗ 상대적으로 긴급하지 않다 : 충족이 늦게 되더라고 감소하지 않거나 단순히 연기될 뿐.
ex)┏ 아사 직전의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 : 긴급
┗ 골프를 함으로써 누리는 효용 : 긴급하지 않음
④ 욕구 해결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목표를 이루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 or 수단
∴ 중요하다 (단순한 desire의 만족보다)
⑤ 욕구의 해결은 자발적 선택 → 변경하기가 어렵다 → 상대적으로 다른 대안이 적다
∴ desire 보다 욕구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필요성이 많다.
⑥ 욕구의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치중립적인 점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⑦ ‘자율’(autonomy)의 측면
- 욕구의 해결을 통해 증가되는 자율 : desire 만족행위를 할 수 있는 전제조건
ex)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거래(desperate bidding)
욕구 사회적 적절성Ⅱ 욕구 : 사회적 적절성Ⅱ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보던 것이 사회 욕구에 대한 대응책으로 바뀌게 된 것은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국민의 시민권 이념이 확산, 강화되면서 인식의 변화가 왔..
비용편익분석 및 기회비용분석 사회복지정책의 비용 편익 분석 및 기회비용 분석
그러나 비용 편익 분석은 이념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사회복지 정책에서 사용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회복지정책의 경우 비용과 편익을 정확히 계산해내는..
사회복지정책목표로서가치
Ⅰ.서언(序言)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사회복지정책의 내용들은 일반적으로 누구에게 급여할 것인가(할당), 무엇을 급여할 것인가(급여), 어떻게 급여할 것인가(전달), 정책에 필요한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
분야에서 사회복지조사론 과목을 학습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토론하시오 이러한 특성 속에서 사회복지 조사론은 사회문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용자의 욕구를 분석하며, 개입 효과를 평가하고, 정책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작용한다.
사회복지조사론은 통계, 질적..
총괄평가에서 중요한 효과성 평가와 효율성 평가에 대하여 서술해보세요 총괄평가에서 중요한 효과성 평가와 효율성 평가에 대하여 서술해보세요.
1. 효과성 평가
효과성 평가는 일반적으로 서비스실천이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는 의도한 대로 실천개입의..
사례관리의 점검(monitoring)단계 점검은 현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지원의 적시성, 적절성 및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의 가족, 다른 서비스 제공자와 규칙적인 만남을 유지하며 (Holt, 2000:..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축의 8가지 주요 원칙에 대해 설명하세요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축의 8가지 주요 원칙에 대해 설명하세요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한 원칙에 대해 길버트와 테렐(Gilbert & Terrell, 1998)은 여덟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