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2. 청년단체의 결성
3. 청년운동 지도부와 이념
1) 초기 청년운동과 부르주아청년
2) 청년운동의 혁신과 지식청년
4. 청년·학생운동과 지역사회
1) 청년운동과 학생층
2) 맹휴투쟁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대응
5. 맺음말
1. 머리말
이 글은 ‘광주학생독립운동 7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의 기획 가운데 하나로 준비되었다. 필자에게 주어진 과제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발발 배경을 운동사 측면에서 해명하는 일이었다. 특히 1920년대 광주지방의 청년·학생운동과 1929~1930년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상호 연관성을 구명할 것을 요구받았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심 세력은 학생이지만 청년운동 세력이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과정에 깊숙히 개입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 광주지방의 청년·학생운동과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상호관계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 문제가 천착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1920년대 중후반 청년운동 지도부의 형성과정이다. 이 문제는 현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이념과 지향을 해명하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청년운동 세력이 학생운동에 개입하게 된 연원, 두 운동의 상호관계를 해명하는 일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1920년대 중반부터 청년운동 세력은 학생층을 조직하고자 노력했으며, 학생비밀결사인 성진회와 독서회의 결성과 활동과정에 개입하였다.1)1) 김성보, 「광주학생운동과 사회주의 청년학생조직」 역사비평 1989년 봄호 ; 김동춘, 「1920년대 학생운동과 맑스주의」 역사비평 1989년 가을호 ; 박찬승, 「광주항일학생운동의 정치사상적 배경 - 1920년대 중후반 학생운동의 양상과 학생운동론」 전남사회운동사연구(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 지음), 한울아카데미,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