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맥락읽기
시맥락읽기
1. 도봉(道峰) / 박두진
A.산새도 날아와 / 우짖지 않고,
B.구름도 떠 가곤 / 오지 않는다.
C.인적 끊인 곳 / 홀로 앉은
가을 산의 어스름.
D.호오이 호오이 소리 높여
나는 누구도 없이 불러 보나.
E.울림은 헛되이 / 먼 골 골을 되돌아 올 뿐,
F.산 그늘 길게 늘이며/ 붉게 해는 넘어가고
G.황혼과 함께 / 이어 별과 밤은 오리니.
H.삶은 오직 갈수록 쓸쓸하고
사랑은 한갓 괴로울 뿐.
I.그대 위하여 나는 이제도 이
긴 밤과 슬픔을 갖거니와.
J.이 밤을 그대는, 나도 모르는
어느 마을에서 쉬느뇨.
-<3인시집 ‘청록집’(1946)>
<맥락 읽기>
1. 어떤 느낌
-외롭고요, 쓸쓸하고요, 적막하고요
2. 화자는 -나.
3. 나는 무얼 바라보고 있지요 -산이요.
3-1. 무슨 산이지요 -가을산
3-2. 그래 산새는 -날아오지 않는데요.
3-3. 구름은 -떠 가고 오지 않는데요.
3-4. 인적은 -끊겼는데요.
3-5. 산은 -홀로 앉았는데요, 그리고 가을 산인데요.
4. 배경이 어때요
-시의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데요.
5. 자! 그럼, 나는 무얼 하지요 -누구를 부르는데요.
5-1. 대답이 있나요 - 울림은 헛되이 되돌아 오는데요.
6. 시간적 배경은 어때요 -‘어스름’에서 ‘해가 넘어가고’ ‘밤’이 오는데요.
7. 전체적으로 배경은 -‘가을산’이고요 ‘밤’인데요.
8. 시인은 왜 그런 배경을 택했을까 -‘나’의 외로움, 쓸쓸함, 적막함을 잘 드러낼 수 있네요.
9. “삶은 오직 갈수록 쓸쓸하고 / 사랑은 한갓 괴로울 뿐” 왜 그럴까
9-1. 너희들은 낮에 쓸쓸하냐, 밤에 쓸쓸하냐 -밤에요.
9-2. 사랑하는 사람이 널 슬프게하면 어때 -괴로워지겠죠.
....
문학용어2
문학용어
시(詩) : ①귀글 시(言志) {書}-言志 ②풍류가락 시(樂章) {荀子-者中聲之所止 ③받들 시(承也持也) {禮}-世子生三日卜士之吉者宿齊寢門外-負之
시가(詩家) : ①詩人 ②시인의 집
시가(詩歌) : ①시와 노래 {漢..
모기의 분류 및 형태
목 차
1. 외부형태
2. 생태
3. 위생
4. 모기의 조사
5. 모기의 구제
6. 한국의 주요 모기
7. 한국산 모기의 분류
1. 모기의 외부형태
성충
번데기
유충
알
성 충
모기의 성충은 주둥이가 돌출되어 있어 ..
읽기_태도의_측정
읽기 교육에서 태도의 문제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중심으로
태도의 개념
취미
태도
가치관
동기
습관
읽기 태도
읽기 자세
읽기에 대한 태도
읽기 태도
읽기 태도의 개념
읽기 태도
읽기 자세
읽기에 대한 ..
읽기 평가의 문제점과 그 대안.
읽기 교육의 여러가지 파트 중 '평가'부분에 대해 문제점을 고찰하고 대안을 제시한 레포트 입니다.
1. 읽기 평가의 문제점………1
1-1. 평가의 범위 측면………1
1-2. 평가의 내용 측면………1
2. 읽기 평가의 바람직..
문학텍스트 읽기와 다문화교육
문학텍스트 읽기와 다문화교육
목차
* 문학텍스트 읽기와 다문화교육
Ⅰ. 문학텍스트 읽기는 하나의 체험이다.
Ⅱ. 문학텍스트 읽기에 의한 체험은 간접적이지만 포괄적이며, 현상에 대해 통합적 시각을 제..
읽기_태도_문제
읽기 교육에서 태도의 문제 (이성열)
Ⅰ. 읽기태도의 개념
1.읽는 자세 - 신체적인 자세 ex)책을 읽을 때 앉거나 누운 몸의 자세, 책을 쥐는 방법
2.읽기에 대한 태도 - 읽기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정도를 나타..
읽기•쓰기 교육
읽기․쓰기 교육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읽기
Ⅰ. 읽기의 정의와 개념
Ⅱ. 읽기의 본질
Ⅲ. 읽기 영역의 목표
Ⅳ. 읽기..
이론과 단계별 특징에 대해 조사하여 설명한 후 읽기 발달을 돕는 그림책 한권을 선정하고 왜 선정했는지 이유를 본인의 의견으로 서술하시오
읽기 발달 단계별 특징
읽기 발달을 돕는 그림책 선정
읽기 발달은 보통 다음과 같은 네 단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발달 단계에 적절한 그림책은 읽기를 즐거운 활동으로 인식하게 하고, 아동의 언어적 성장을 촉진..
국어읽기_부진의_진단에_대한_연구
국어읽기 부진의 진단에 대한 연구
I. 읽기의 관점 및 문제제기
1.국어교육에서의 읽기 - 학습의 목표대상 영역인 동시에 학습의 활동 그 자체.
2.국어 읽기를 바라보는 시점 - 전통적 관점과 현대적 관점으..
접할 수 있는 실제적인 자료를 하나를 선정하여 그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읽기 수업을 구성하시오 이때 읽기 수업방안을 읽기 전 중 후 단계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읽기 중 단계 수업 구성
본 수업에서는 '서울 지하철 노선도와 역 안내문'을 실제 자료로 활용한다.
나는 실제 자료를 활용한 읽기 수업이 학습자의 자율성과 실용성을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