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록
1. 서 론
2. 경제협력의 단계별 특징과 성격
1. 제 1단계(1945~1950년대 말)
2. 제 2단계(1950년대 말~1960년대 중반)
3. 제3단계 (1960년대 말~1970년대 말)
4. 제4단계(1980년대)
3. 요약정리 및 결 론
1. 서 론
소련과 북한과의 경제협력 관계는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특히 1948년 이후 북한이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건설하고 한국전쟁 이후 경제재건을 하는 과정에서 소련의 대북 경제원조 및 협력은 절대적인 것이었다.
소련과 북한과의 경제협력도 항상 좋았던 것만은 아니다. 소연방의 해체 뒤 러시아가 ‘대외교역의 정치화’ 노선을 포기함에 따라 러시아의 대북한 출혈지원은 중지되었고, 북한의 경화결제능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전과 같이 소련의 상품, 특히 원유와 같은 원자재를 구입할 수 있는 능력이 상실됨으로써 양국 간 우호적인 경제협력관계는 급격히 퇴조하고 말았다하지만 독일에서는 우리와 달리 식사 중이든 식사 후든 코를 푸는 것은 아주 당연하게 받아들여진다.(2001년 상반기 북한의 대러시아 교역실적은 2,104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5.1% 감소하였다. 대러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6.8% 감소한 147만달러를, 대러 수입은 15.7% 감소한 1,957만달러를 기록하였다. 양국 교역은 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1)1) 참고사이트: http://crm.kotra.or.kr/main/info/nk/trade/sub07.php3
)
....
러시아의 소개,러시아정부의 정치제도,러시아의 대북정책 러시아의 행정
목 차
1. 러시아의 소개
2. 러시아정부의 정치제도
3. 러시아정부의 행정단위 및 구역
4. 러시아의 연방행정
5. 행정부와 의회의 관계
6. 우리나라와의 관계
7. 러시아의 대북정책
8. 결론
1. 러시..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정책과 극동개발 에너지 부국인 러시아의 에너지 정책과 극동지역(시베리아)의 개발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1. 러시아 안보 정책
2. 러시아의 에너지 정책
3. 에너지 전략 2030
4. 中·日 간의 러시아 에너지 확보 경쟁
5. 결론 ..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의 내용과 특징 나아갈 방향 조사분석 Report
(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의 내용과 특징 나아갈 방향 조사분석 )
목 차
Ⅰ. 서 론
Ⅱ. 본론
1. 냉전 시기의 소련의 한반도 정책
2.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기
3. 냉전 이후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4. ..
한 러 장기협력 동 시베리아와 러시아 극동 :
한․러 장기협력분야
러시아의 극동지역: 러시아와 한국의 장기협력 목적
극동경제지역은 러시아연방(Yakutia, Primorski지역, Khabarovsk지역, Amur Oblast, Kamchatka Oblast, M..
세종시_원안_수정_추진논쟁에서_보이는_명분과_실리_논쟁과_발전방향 세종시 원안 수정 추진논쟁에서 보이는 명분과 실리 논쟁과 발전방향
Ⅰ. 격동의 동북아와 혼돈의 한반도
새로운 시대가 국제사회에 도래 하고 있다. 부상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 그리고 하나의 거대한 세력으로 부..
탈북자와 난민 문제 탈북자와 난민문제
10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산되는 탈북자들이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강제송환과 이어지는 극단적인 처벌의 공포 속에 떨며 방황하고 있다는 현실은 이제 어느 정도 주지의 사실이 되었다.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