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
서식
>
회사서식
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
한글
2011.04.14
3페이지
1.
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hwp
2.
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pdf
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
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
제1조(적용범위)
① 거치식예금(이하 ‘이 예금’이라 한다)이란 예치기간을 정하고 거래를 시작할 때 맡긴 돈을 만기에 찾는 예금을 말한다.
②이 약관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예금거래기본약관의 규정을 적용한다.
③ 복리자유적립식정기예금과 양도성예금증서 및 표지어음의 거래에는 이 약관을 적용한다.
제2조(지급시기) 이 예금은 약정한 만기일 이후 거래처가 청구할 때 지급한다. 다만, 거래처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청구할 때에는 만기전이라도 지급할 수 있다.
제3조(이자)
①이 예금의 이자는 약정한 예치기간에 따라 예금일 당시 영업점에 게시한 예치기간별 이율로 셈하여 만기일 이후 원금과 함께 지급한다. 그러나, 거래처의 요청이 있으면 월별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다.
② 만기일 후 지급청구할 때는 만기일부터 지급일 전날까지의 기간에 대해 예금일 당시 영업점에 게시한 만기후 이율로 셈한 이자를 더하여 지급한다.
....
출처: 보훈처
예금거래기본약관 표준약관
예금거래기본약관 표준약관 제10012호 이 예금거래기본약관(이하 “약관”이라 한다)은○○ 은행(이하 “은행”이라 한다)과 거래처(또는 예금주)가 서로 믿음을 바탕으로 예금거래를 빠르고 틀림 없이 처리하는 ..
적립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4호
적립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4호 제1조(적용범위) ① 적립식예금(이하 ‘이 예금이라 한다)이라 함은 기간을 정하고 그 기간중에 미리 정한 금액이나 불특정 금액을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입금하는 예..
예금거래기본약관
예금거래기본약관 이 예금거래기본약관(이하 “약관”이라 한다)은○○ 은행(이하 “은행”이라 한다)과 거래처(또는 예금주)가 서로 믿음을 바탕으로 예금거래를 빠르고 틀림 없이 처리하는 한편, 서로의 이해관계를..
[서식] 업종별 표준약관
목차 결혼정보업 1 골프장이용 7 무인경비업 12 세탁업 22 아파트표준공급계약서 27 여행 34 영화관람 45 예금거래기본약관 47 예식장이용 53 유학수속대행표준계약서 57 이사화물 62 ..
특정채무담보 표준약관 제10044호
특정채무담보 계 대리 차장 지점장 저당권 설정 계약서 표준약관 제10044호 년월일 은행은 채무자․저당권설정자에게 이 약정서상의 중요한 내용을 설명하여야 하며, 은행여신거래기본약관과 이 ..
삭제신규기재금융상품목록
삭제신규기재 금융상품 목록 (1) 삭제 금융상품 목록 번호 금융상품명 삭제일 삭제사유 (2) 신규기재 금융상품 목록 번호 금융상품명 관련조항 및 상품특징 판매일 주)제4조제1항 또는 제5조제1..
[상법] 보통거래약관 - 상법 총론 총칙
목 차 1. 보통거래약관의 의의 ▪ ▪ ▪ 2 2. 보통거래약관의 성립 ▪ ▪ ▪ 2 3. 보통거래약관의 기능 ▪ ▪ ▪ 2 1) 법률적 기능 2) 경제적 기능 3) 부정적 기능 4. 보통거래약관의 특징 ▪ ▪ ▪ 4 5. 보통거래약관..
택배표준약관입니다.
택배표준약관( 이 약관은 택배사업자와 고객 간의 공정한 택배거래를 위하여 그 계약조건을 정함을 목적으로 함) 입니다. 참고하세요.
예금 잔액 명세서_표준서식
예금 잔액 명세서 표준서식입니다. 아래와 같이 예금잔액 명세서를 제출합니다. 예금종류 은행명/지점명 계좌번호 금액 비고 합계 예금잔액 명세서 결 재 담당 과장 부장 사장 문서번호 페이지번호 1/1페..
대부(사채)거래 표준약관 표준약관
대부(사채)거래 표준약관 표준약관 제10036호 제1조(목적) 이 약관은 대부업자와 채무자간의 대부거래에 있어서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고 공정하며 건전한 금전소비대차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거치식예금약관 표준약관 제10015호
국내 기타 기초유기화합물 시장통계(2008년까지)
민법상 계약에서의 위험부담 문제에 대하여
영아관찰일지 아동관찰일지 - 만1세 1년분량 (5명 20Page)
월별 판매액 합계표_자동화서식
사업계획서
[적대적 M&A 공격 및 방어전략]
국제기구
능력주의 인사관리와 직능자격제도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