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후원 지역은 내전 뒤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말한다. 원래의 경복궁 후원 지역이란,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 바깥자리 지역, 즉 지금으로 말하면 청와대 터 지역을 말하는 것이었다. 경복궁이 완성 된 지 8년 뒤인 1426년 청와대 터 지역에 후원이 조성되었었는데, 임진왜란 때 원래의 후원은 소실되고 말았으며, 결국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시기에 융문당, 융무당 등의 건물등과 함께 다시 조성되었다. 조선이 일제에 의해 강점된 시기에 일본은 풍수지리상 용맥에 해당하는 후원 일대에 총독의 관저를 세우게 되었고, 이 총독 관저가 해방이후 경무대로 사용, 지금의 청와대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후원이라 함은 향원정 일대를 이르는 말이다.
1. 향원정 - 경복궁에서 경회루와 더불어 물 위에 세워진 누각중의 하나로, 2층 규모의 익공식 기와지붕으로 만든 누각이다. 누각의 평면은 정육각형 이며, 장대석으로 단을 모으고 짧은 육모의 돌기둥을 세워 만들었으며, 1층과 2층을 하나의 기둥으로 세운 것이 특징이다. 1867년부터 1873 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종 4년에 건청궁을 준공 할 때 조성한 것이며, 누각으로는 특이하게 난방구조까지 갖추어져 있다. 향원정 으로 가는 다리인 취향교는 상당한 조형미를 자랑하고 있는데, 나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다. 연못 북쪽에 널찍한 우물이 자리하고 있는데, 여기서 넘친 물이 연못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향원정은 임금과 신하가 만나 군신관계를 더욱 두텁게 하는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향원정 북쪽 터에는 일제시대 총독부의 미술관 건물이 들어서 있다가, 얼마 전에 헐리었던 아픈 과거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
[답사보고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을 다녀와서 답사 보고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
대학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가게 된 답사. 이번에 가게 된 곳은 우리나라의 고궁이었다.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까지. 덕수궁을 안 간 것은 좀 아쉬웠지만 그..
[기행 감상문] 경복궁을 다녀와서 [기행 감상문] 경복궁을 다녀와서
서울은 고층 빌딩과 많은 사람으로 복잡하고 혼잡하다. 그러나 그러한 혼잡함 속에 옛 멋이 그대로 남아있는 고궁이 있다는 것은 모순적이면서도 아름다운 것 같다고 생각된다. ..
답사 보고서 - 경복궁을 답사하고 나서 답사 보고서 - 경복궁을 답사하고 나서
우리나라에서 누구나 한번쯤은 가봤을 법한 경복궁. 나는 교양과목의 레포트를 위해서 답사하게 되었다. 학교를 다니면서 답사를 가는 건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하루 날을 ..
[탐방 보고서] 경복궁을 다녀와서[경복궁에 대한 생각 정리] [가을 달빛 아래 경복궁과 마주하다]
10월 8일 경복궁 답사에 앞서 10월 3일부터 7일까지 진행된 경복궁 야간 개장에 다녀왔다. 교수님, 학우들과 함께한 8일 답사도 즐거웠지만 가을밤에 만나는 경복궁이 훨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