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 - 한국의 경제환경과 무역구조

1. 무역학 - 한국의 경제환경과 무역구조.hwp
2. 무역학 - 한국의 경제환경과 무역구조.pdf
무역학 - 한국의 경제환경과 무역구조
한국의 경제환경과 무역구조

1. 경제환경

해방과 남북분단은 남한의 식량자원과 소비재공업, 북한의 지하자원, 전력과 중화학공업이라는 지역간 특화로 인하여 고도의 보완성을 가진, 그러면서도 심각한 대일 기술 종속으로 인하여 생존능력이 약한 한국경제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이에 더하여 1950∼53년간 계속된 한국전쟁은 공업생산시설, 도로·교량·전력 등 사회간접자본시설, 수리관개시설 등 농업용 사회간접자본시설에 혹심한 피해를 입혔다. 이로 인해 한국의 경제 상황은 악화될 만큼 악화되어 국민들의 기본적인 의식주도 해결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당시 한국의 국민들과 정치인, 경제인 등은 경제발전에 모든 관심이 쏠려 있었다. 이러한 경제발전의 노력에 의해 한국경제는 2차 대전 이후 전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산업화와 성장을 이룩하였다. 한국은 불과 40여 년에 걸쳐 전통적인 농업국가에서 고도의 산업화된 국가로 전환되었던 것이다.

2 한국의 무역구조

1). 수출구조

(1) 무역초창기(1945~1960년)
해방 후부터 1950년대까지 한국의 수출품은 주로 1차산품과 광산물이었다. 1946~1953년간 수출비중이 높은 품목은 식량(쌀), 원료(중석), 약품류 등 세 가지 품목이 수출주종품목이었다. 해방 후 식량의 수출비중은 50% 이상을 차지했었다. 그러나 6.25사변으로 미곡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됨에 따라 그 수출량도 격감되었다.
한편 1954년부터 1960년까지도 수출상품의 품목은 약간 바뀌었으나 수출상품구조는 거의 변함이 없었다. 이 기간 동안 1차산품의 수출구성비가 높았던 것은 산업구조상 1차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2) 무역추진기(1961~196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