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 - 군 KHTP 역동적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에 관해서

1. 상담심리 - 군 KHTP 역동적 집 나무 사.hwp
2. 상담심리 - 군 KHTP 역동적 집 나무 사.pdf
상담심리 - 군 KHTP 역동적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에 관해서
상담심리 - 군 KHTP 검사

목 차

1. KHTP 그림검사
2. KHTP 그림검사와 군 상담
3. KHTP의 활동내용
4. KHTP의 표현양식
5. KHTP의 그림에 나타난 특징
6. KHTP의 일반적 개별적 특징

1. KHTP 그림검사

1)KHTP 그림검사
심리학자들은 인간이 말로 표현하기 곤란한 자기 내면의 성격과 감정 상태를 어떤 매체에 형상화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것을 토대로 투사적 그림검사를 연구해 왔다. 1904년 S. Levenstein은 ‘스토리텔링’ 실험을 통해 그림은 획득한 개념과 생활을 표현한다고 발표했고, 1908년 W. Stem은 언어와 그림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그림이 뜻을 전달해 주는 언어의 표정임을 밝혔다. 그 후 학자들에 의해 그림의 투사적 기능 및 그림과 언어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된 결과, 그림은 그 투사적 기능으로 인하여 인간의 심리적인 면과 정신적인 내면세계를 이해하는 진단적 도구로 사용되기에 이른다. 프로이트는 임상장면에서 정신과 환자들이 말보다는 오히려 그림을 통해 자기를 전달하는 것이 보다 쉽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즉 사람은 그림을 그릴 때 자기도 모르게 스스로 생각하고 있는 자기의 모습, 혹은 자기가 되고 싶은 모습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된 투사적 검사는 Florance Goodenough(1929)의 아동용 지능 검사도구 였던 인물화검사로부터 HTP(집-나무-사람), KHTP그림검사(동적 집-나무-사람)까지 발전되었다.
Karen Machover(1949)는 아동지능측정을 목적으로 Goodenough의 도구를 사용, 투사적 성격검사로서의 인물화 검사체계를 개발시켰다.
Machover는 상징적 언어를 해석하기 ‘신체 심상의 투사’ 라는 기본적 가정을 세우고 투사에 대한 연구를 진일보 시켰다. 즉, 인간의 성격은 발달 초기에 신체 운동, 느낌, 생각을 통해 발달되며 투사된 신체 심상은 피검자의 충동, 불안, 갈등, 보상 등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