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문화론,대중문화,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1. 민중문화론,대중문화,마케팅,브랜드,브.hwp
2. 민중문화론,대중문화,마케팅,브랜드,브.pdf
민중문화론,대중문화,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민중문화론

1.시작하며
한해를 뜨겁게 달구었던 여러 이슈들 중 하루 종일 일을 해야 월88만원을 버는 뉴코아 홈에버 비정규직 캐셔 노동자들의 투쟁이 있었다. 그 투쟁은 한국 사회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현실을 심각한 사회문제로서 대중들에게 인식시키는데 큰 화두를 주었다. 1970년에 ‘근로기준법준수’를 외치며 분신한 전태일이 있었다면 2007년에는 비정규직으로 상징되는 캐셔 아줌마들의 눈물겨운 투쟁이 있었다고나 할까 이제 한국사회 비정규직은 800만을 넘어 900만을 바라보고 있으며 노동인구의 절반이상이 비정규직 노동자라고 한다.

‘민중문화론’을 얘기하면서 ‘비정규직 노동자’들 얘기로 시작한 것은, ‘민중문화’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피지배계급인 민중,엄밀히 말하면 노동계급(working class)의 문화’를 의미하며 여기서 민중문화의 주요한 주체로서의 노동계급이 ‘2000년대 현재는 어떻게 존재하는가’란 자문속에 나온 이야기이다.

또한 한국사회는 독특한 근현대사를 거쳐 오늘에 와 있다. 일제 식민통치 아래 굴욕과 예속,일제화란 정책과 함께 근대화의 물결이 비정상적으로 들어왔으며 해방과 전쟁, 분단은 좌우 이념대립으로 민족을 두동강내었다. 한쪽은 사회주의 보루로, 또 한쪽은 자본주의(구체적으로 미국) 추종자로 극과 극을 달려왔고 한국은 장기간 군사 파쇼독재를 거쳐 절차적 민주주의를 실현한지 얼마 되지 않는다.이에 우리의 근현대사속에 ‘민족’은 ‘민중’과 만나 제국주의와 지배계급에 대한 저항주의를 만들었고,한국사회 변혁에 기여해왔다. 그속에서 한국의 ‘민중문화’는 ‘민족문화’와 긴밀한 관계속에 성장해 왔으며 현재에도 정체와 답보상태에 있기는 하나 엄연히 존재하여 왔다.

이 글에서는 민중문화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는 가운데 70년대,80년대 민중문화 전성기,90년대 이후의 침체기 등을 집중 분석하고 현재의 대안으로서 민중문화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살펴보는 계기가 되도록 한다.

2.70년대-대중문화 현상과 민중문화의 대두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