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분법 (bisection 또는 binary-search method) 은 f(x)=0을 만족하는 단일 변수 방정식의 근을 구하는 수치해석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고차 대수 방정식(polynomial)이나 초월 함수 방정식 (삼각함수) 의 근을 구하는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중간값의 정리에 의해 구간 [a , b]에서 연속함수 f(x)가 f(a)f(b) [ 0 이면 이 구간 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이 존재한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Xsol = a1 +
=
★ 이분법의 특징
- 반드시 해가 존재한다. (함수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 계산 횟수 평가가 용이하다.
- 계산 구간을 미리 설정해야 한다. (수렴속도가 느리다.)
[뉴톤법]
뉴턴법(Newton method) 또는 뉴턴-랩슨법(Newton-Raphson method) 으로 불리는 이 방법은 f(x)=0 을 만족하는 x값을 구하는 단일 변수 방정식의 수치적 해법 중 하나이다.
뉴턴법은 어떤 지점 (xn, yn)이 주어졌을 때, 이 점을 지나는 f(x)의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을 (xn+1, 0)이라고 하면, xn+1 이 xn에 비해 근 x에 더 가까워 지는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뉴턴법은 수렴 속도가 단일 변수 방정식의 해법 중 가장 빠르지만, 해에 수렴하지 않거나, 엉뚱한 해에 수렴할 가능성이 있다. 또, f(x)의 도함수를 구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x1 = x0 -
★ 뉴톤법의 특징
- 수렴속도가 빠르다.
- 계산구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 도함수가 존재해야 하므로 함수의 연속성이 요구된다.
- 초기값, x0의 설정이 수렴해를 얻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할선법]
f(x)=0을 만족하는 단일 변수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수치해석 기법이다.
....
수치해석 - 가위치법에 대해서 수치해석
가위치법
01
가위치법
가위치법이란
가위치법
이분법이 근을 찾는 확실하고 우수한 기법이지만 근에 접근하는 방식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여기에 대하여 가위치법은 그래프적인 관찰에 기초를 둔 개선..
기술연구-기계 자기소개서 자소서와 면접질문 한국전력 기술의 설계 및 성능 분석 업무에서도 이와 같은 경험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입사 후에는 한국전력기술의 설계 프로세스와 해석 기준을 빠르게 습득하고, 현장과 연구를 연결하는 실무형 연..
[전산수치해석] LRC회로를 수치해석으로 구현 [전산수치해석] LRC회로를 수치해석으로 구현
문제
E
R = 80, L = 2H, C = 0.1F, E = 10V
* exact solution :
위 그림의 RLC회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 i(t)를 수치적으로 구할 수 있다.
* 지배 방..
수치해석 보고서 - 가우스 구적법(Gauss Quadrature) 수치해석 보고서 - 가우스 구적법(Gauss Quadrature)
목 차
1.Gauss Quadrature (가우스 구적법)
2. 이론해 계산
3. 프로그램 알고리즘
4. 프로그램 리스트
5. 수치 적분 결과
6. 이론 해와 결과 비교 및 분석 ..
본사관리(전략,기획) 자기소개서 한국투자증권 본사관리(전략, 기획) 자기소개서
이러한 성장 과정은 단순히 자기 관리 능력에 그치지 않고, 조직 내에서 역할을 분석하고 전략적 해법을 제안하는 기획자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그 중에..
프로그램 자동업데이트 VB소스 VB에서 FTP를 이용한 프로그램 자동업데이트 소스입니다.
VB에서 FTP를 이용한 프로그램 자동업데이트 소스입니다.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도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20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사업부_기계-항공 자기소개서 지원서와 면접자료 대학원 과정에서는 항공엔진 연소기 및 터빈부의 열적응력 해석을 수행하며 ANSYSF luent, CFX, FEA 등 다양한 해석 프로그램을 실무적으로 다루었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검증-최적화'의 전주기에서 협업할 수 ..
웹 사이트 기획의 실무 웹 기획 및 관리
웹사이트 기획의 실무
웹사이트 개발개념
프로그래밍 개념
Server Programming
Client Programming
개념 : 서버로 부터 응답된
데이터를 Client(Web Browser)
에서 해석(Parsing)
특징 : 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