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도
○ CPB 비당사국(BCH 운영)
○ LMOs에 특화된 법 없음 ([표1-1] 참조)
- ‘Coordinated Framework for Regulation of Biotechnology(1986년 공포)’에 근거하여 EPA, FDA, USDA가 관리
- 이용의도/특성에 따라 규제하며, 2개 이상의 기관이 규제하는 제품도 있음([표1-2] 참조)
- 의무적인 표시부착 요건 없음
[표1-1] 관련법
소관기관
법률명
EPA
연방살충제․살균제․쥐약법
유독물질규제법
FDA/EPA
연방식품․의약품․화장품법
USDA
식물보호법
바이러스혈청독법
동물건강보호법
연방식육검사법
가금제품검사법
계란제품검사법
동물손상규제법
동물복지법
모든 기관
국가환경보호법
[표1-2] 규제체제
특성 및 생물체
도입특성
식용작물의 해충저항성
(Bt 옥수수)
기름함량 증가 식용작물
(올레산함량증가 콩)
제초제 내성 식용작물
(글리포세이트 내성 옥수수)
제초제 내성 관상용작물
(마리골드)
색변형 관상용 꽃
(블루 카네이션)
농업 및 환경 안전성
USDA
USDA
USDA
USDA
USDA
Plant-Incorporated Protectants의 안전성(환경, 식품, 사료)
EPA
----
식품 및 사료 안전성
FDA
FDA
FDA
--
Companion herbicide의 안전한 이용
--
EPA
EPA
-
■ 연구․개발, 생산, 무역 현황
○ 1987년-2007년 사이 12,932건의 시험재배가 승인되었음([그림 1-1] 참조)
- 작물별: 옥수수〉대두〉감자〉면화〉토마토〉밀 등의 순
- 특성별: 제초제내성〉해충저항성〉품질향상〉바이러스저항성 등의 순
[그림 1-1] 시험재배 현황
....
신입사원 LMO 생물안전관리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졸업 후 관련 기관에서 인턴십을 수행하며 현장에서의 생물안전관리 실무를 익혔고,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대응하는 경험을 다수 쌓았습니다.
저의 꼼꼼함과 현장 대응 능력은 대학 연구환경에서 생물 안전 업무를 ..
LMO 생물안전관리 자기소개서 지원서 대학교 직원의 역할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본인의 생각을 기술해 주십시오
입사 후에는 정기적인 실험실 점검 및 교육자료 제작, 생물안전 관련 규정 업데이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