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근로자대표제의 의의
1. 근로자대표제의 도입의미
2. 근로자대표의 개념
1) 법률의 규정
2) 근로자대표에서의 ‘대표’의 개념
3) 근로자대표의 개념
Ⅲ.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의 비교
1. 피대표자의 범위와 성격
2. 의견의 대표자로서의 근로자대표
3. 대표자와 피대표자와의 관계
4. 대등한 노사관계의 보장문제
5. 소결
Ⅳ. 근로자대표제의 문제점
1. 근로자대표의 피선자격
2. 근로자대표의 선정방법
3. 근로자대표의 권한통제
4. 근로자대표의 기간별 설정
5. 근로자대표 선정에 관한 사용자의 간섭행위
Ⅴ. 결론
Ⅰ. 서론
1997년 근로기준법의 개정시에 새롭게 근로자대표제가 도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즉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에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과반수의 근로자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말한다. 이하 ‘근로자대표’라 한다.)”고 근로자대표에 관하여 정의1)1) 개정 전(97.3) 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이하 ‘근로자대표’라 한다).”라고 규정하였는데, 형식론적으로 보면 개정 전의 경우에는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근로자대표라고 하고 개정 후의 경우에는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선출되는 근로자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하고, 기타 여러 조문에서 이러한 근로자대표가 서면합의 또는 협의 등의 방법으로 근로조건의 규율에 관여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
노동조합 전임자의 법적 지위 노조 전임자의 법적 지위 전반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1.조합활동과 노조전임자의 지위
노동조합은 헌법상의 단결권에 근거하여 조직된 근로자들의 단결체로서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대등성을 확보하고 근로자..
사업이 전과 근로자 대표의 지위에 대하여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과 근로자 대표의 지위
1. 들어가며
광의의 근로자대표란 현행 노동법상 사업 또는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표하는 자라 할 수 있는바, 주로 사업 또는 사업장 내에서의 근로자대..
노동조합 조합원의 지위와 권리의무 관련 판례 검토 노동조합 조합원의 지위와 권리의무 관련 판례 검토
1. 단체협약에 의한 제한
노동조합 조합원의 지위 및 권리와 의무 관련 사항을 단체협약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는 가에 대한 판례의 태도는 다음과 같다.
“..
보호와 평등과 공정을 바탕으로 한 노동법의 이념에 대하여 보호와 평등과 공정을 바탕으로 한 노동법의 이념에 대하여
1. work rule·approach
산업이 고도화되고 정보화 산업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고용·취업형태가 등장하고,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생활·의식도 노동법이 ..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의 법적 지위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
Ⅰ. 들어가며
현행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에서는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민주성을 요구하고 있는데, 특히 자주성은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으로서 의미가 중..
노동조합의 설립요건과 법외 노조의 법적 지위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요건과 법외노조의 법적지위
Ⅰ. 들어가며
노동조합이라 함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향상을 목적으로 결성한 단체 또는 연합단체를 말한다. 이러한 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