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측두하악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2.악관절운동의 특징
3.설골을 움직이는 근육
4.긴장된 저작이 인체에 미치는영향
5.악관절의 기능장애
1. 측두하악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측두하악관절은 신체에서 가장 복잡한 관절로서 경첩운동(hinge movement)을 하므로 경첩관절(ginglymoid joint)이라고도 할 수 있고, 활주운동(gliding)도 하므로 활주관절(arthroidal joint)이라고도 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은 과두(condyle)와 관절와(fossa)로 구성되고 그들 사이에 관절원판(disc)이 존재한다. 이 원판은 dense fibrous connective tissue로 구성되어 있고, 이곳에는 신경과 혈관의 분포가 없다
이 관절원판은 두께에 따라 3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가운데를 intermediate zone라 하며 가장 얇고 하악과두의 관절면이 이곳에 위치한다. Ricketts(1950, 1953)는 관절와에 대한 과두의 평균위치에 대해서 보고한 바 있다. 과두가 타원형으로 된 것도 관절에 스트레스를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Standlee등, 1981).
하악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원판은 어느 정도 유연성(flexible)이 있어서 관절면의 기능적 요구에 적응하게 된다. 관절원판은 관절내의 구조적 변화나 파괴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형태의 변화는 잘 일어나지 않지만 변화가 초래되면 비가역적이다.
....
[해부생리] Temporomandibular joint TMJ [악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TMJ (악관절)
악관절(TMJ)
악관절은 TMJ로 불리는, 인체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관절 중 하나이다.
씹을 때, 삼킬 때, 소리 지를 때, 말할 때 턱 움직임을 포함한 다른 활동에도 쓰인다..
대화의이론,대화의구조,대화의원리,대화행위,간접대화행위,대화의예절 대화의 이론
목 차
대화의 구조
대화의 원리
대화행위
간접 대화행위
대화의 예절
대화의 구조
대화의 특징
Labov의 대화 구조 분석
절의 순서를 바꾸면 대화 전체 상황이 바뀐다.
EX)
1)내가 동생을 때렸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