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포의 미세구조
근육은 근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 작은 기능적 단위인 근원섬유, 다시 더 작은 단위인 근세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근세사는 주로 액틴과 마이오신이라는 두가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근절
근섬유를 따라 어두운 띠와 밝은 띠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으며 골격근을 횡문근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근원섬유 수준에서 밝은 부분을 I-band, 어두운 부분을 A-band라고 부른다.
Z선은 I-band를 양분하는 선으로 근섬유 주위를 싸고 있는 근초에 부착되어 근섬유의 구조에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두개의 Z선 사이의 단위는 근절이라고 불리며 근세포의 기능적 단위라고 할 수 있다.
근절 내에 있는 액틴과 마이오신 세사는 근수축의 기계적 과정에 주로 관여한다.
가는 세사인 액틴과 굵은 세사인 미오신의 배열위치는 서로 겹쳐지게 되어있다.
A-band의 중간에 H-zone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액틴 세사가 겹쳐져 있지 않기 때문에 밝게 보인다.
그리고 H-zone의 중앙에 A-band를 양분하는 M line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선은 마이오신 세사의 배열을 지지해주는 단백질 구조를 하고 있다.
액틴세사는 구상 단백질로서 염주띠가 꼬여있는 모양과 흡사하다. 마이오신세사에는 액틴세사를 향해 뻗은 단백질 돌기가 있는데 이를 연결교라고 부른다.
근형질세망과 가로세관
근섬유내에는 근원섬유와 나란히 분포하고 있는 작은 관들의 연결망이 존재하는데 이를 근형질세망이라고 한다. 근육의 연속적인 수축상태에 있는 것을 막기 위해 칼슘은 세포막에 붙어 있는 통로에 저장되며 전체 근 섬유를 투과하여 각각의 근절을 둘러싼다.
이 세관들의 양쪽 끝은 종말수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종말수조에는 칼슘이온(Ca²+)이 저장되어 있다.
또 하나의 세관망은 근원섬유를 가로질러 분포하고 있는데 이를 가로세관 또는 T세로관(transverse tubule)이라고 부른다.
....
[의학] 근수축 질환에 대한 소개 [의학] 근수축 질환에 대한 소개
【근 수축의 종류】
1. 근 수축이란
- 단순히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근육 내의 장력(tension) 이 발생되는 것을 말하며 근장력의 발생과 근육의 길..
정신의학의 역사(발전과정) 정신의학의 역사(발전과정)
현대 정신의학은 19세기 말부터 반세기 동안에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정신의학이 근대의학의 구실을 하게 되기에는 Kraepelin의 공헌이 크다. 그러나 그는 정신병의 기술과 분류..
[스포츠] 웨이트트레이닝에 대해 웨이트 트레이닝
목 차
1.웨이트 트레이닝이란
2.웨이트 트레이닝의 원리
3.웨이트 트레이닝의 원리
4.기본적인 웨이트 트레이닝 방법 및 규칙
5.살찌는(근육을 증가시키는)웨이트 트레이닝
6.웨이트 트레..
재료공학 기초 실험 - 세라믹 수축률 측정 1. 실험 목적
세라믹 재료의 소결 전, 후의 dimension을 측정함으로써, 소결 거동을 살펴보고 세라믹 부품 또는 제품을 제조할 경우 최종 제품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2. 이론적 배경
1) 소결 (Sint..
재료공학기초실험 - 세라믹 수축률 측정 1. 실험 목적
세라믹 재료의 소결 전, 후의 dimension을 측정함으로써, 소결 거동을 살펴보고 세라믹 부품 또는 제품을 제조할 경우 최종 제품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2. 이론적 배경
1) 소결 (Sint..
인체에 작용하는 힘 본 자료는
1. 구심성 수축
2. 원심성 수축
3. 등장성 수축
4. 등척성 수축
5. 등속석 수축
에 대해 서술한 자료임
1. 구심성 수축
2. 원심성 수축
3. 등장성 수축
4. 등척성 수축
5. 등속석 수축
3. ..
[해부학] 근육의 수축 운동 근육의 수축 운동
목 차
Ⅰ. 서론
(1) 근육이란
Ⅱ. 본론
(1) 근육의 구조
(2) 근육의 수축운동
Ⅲ. 결론
Ⅰ. 서론 - (1) 근육이란
유쾌하게 한번 웃을 때 우리 몸속의 근육 650개 중 무려 231개가 움직인다..
안락사와존엄사의허용여부
안락사와 존엄사의 허용여부
Ⅰ. 서 론
형법에서는 사람의 사망시기를 심장의 고동이 영구적으로 정지된 때를 보는 맥박종지설이 통설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하여 의학계에서는 뇌사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
[물리치료] 도수 저항 기법[Manual Resistance technique]에 관해 도수 저항 기법 ( Manual Resistance technique )
I. 역사( History )
- 그 뿌리는 물리치료사들의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즉, PN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와 정골 의학( Osteopath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