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it : Walking manner를 말한다.
① Locomotion(이동) 중에서 정상인이 행하는 것 → gait
② 역학적으로는 중심이동이다.
③ 하지의 상호교대작용으로 이동 → 양하지 각관절의 회전운동들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 것
분석:
① 발 뒷꿈치가 닿는 시기부터 같은 발 뒷꿈치가 다시 닿는 시기까지를 한 주기로 본다.
② 땅에 있는 시기를 Stance phase, 땅에 떨어진 시기를 Swing phase라 한다.
* 두 다리가 땅에 붙어 있는 기시 (Doble stance)는 한주기에 두 번
Inital Double Limb stance
Terminal Double Limb stance
Table 1.1
Floor Contact periods
Stance 60%
Initial Double Stance 10%
Single Lims Support 40%
Terminal Double Stance 10%
Swing 40%
Stance Phase
1. Heel strike (HS) : 뒷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
비정상적인 보행시는 발바닥 전체가 닿거나, 발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있다.
2. Foot flat (FF) : plantar flexion되면서 발이 땅에 완전히 닿는 시기
3. Midstance (MST) : 지지하는 다리 바로 뒤에 체중이 놓이게 되는 시기
4. Heel off (HO) : Heel이 떨어지는 시기
5. Toe off (TO) : 발가락이 떨어지는 시기
Swing Phase
1. Acceleration (Acc) : 하지가 땅에서 떨어져 midswing이나 하지가 몸 바로 아래 올 때까지의 기간
....
[물리치료학] gait[보행] 분석 1. Locomotion vs. Ambulation 정의
Locomotion
: the act or power of moving the body from place to place by means of one s own mechaisma or power.
The term locomotion means movement or travel. It may..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이상보행에 관해 Index
□정상보행
1. 정의
2. 보행주기
3. 보행주기의 분석
4. 정상보행의 특징
5. 체간과 상지의 움직임
6. 보행시 작용하는 근육
□이상보행
1. 정의
2. 원인
3. 종류
□Reference
□정상보행
1. 정의
-Gait란 w..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편마비보행에 관해 - 목차 -
Ⅰ. 서론
1. 정의
1) 정상 보행 (Normal gait)
2) 편마비 보행 (Hemiplegia gait)
2. 연구의 목적
Ⅱ. 본론
1. 정상보행 (Normal gait)
1) 특징
(1) 체중심(Center of gravity : C.O.G.)
(2) P..
[물리치료] 비정상적인 보행[abnormal gait]에 관해서 Abnormal gait
Abnormal gait
Gait abnormality
A deviation from normal gait that typically results from dysfunction of the nervous and/or musculoskeletal systems.
Abnormal gait
gait abnormalities a..
[물리치료] 보행에 모든 것 보 행
1. 보행 주기 (gait cycle)
한쪽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heel strike)에서 반대쪽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까지의 동작을 한 발짝(step)이라고 한다.
또한 한쪽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heel st..
[물리치료학] 보행에서 CPG에 대한 이해 C.P.G. (Central Pattern Generator)
1. 정의
보행 및 Respiration, Mastication 등의 주기적이고 율동적인 동작들은 상당히 복잡한 통합 과정의 계속적인 반복을 통해 특성화 되어져 결국 단순한 형태를 이루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