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연대결정법 - 상대연대결정법과 절대연대결정법을 중심으로

1. [고고학] 연대결정법 - 상대연대결정법.hwp
2. [고고학] 연대결정법 - 상대연대결정법.pdf
[고고학] 연대결정법 - 상대연대결정법과 절대연대결정법을 중심으로
연대결정법
-상대연대결정법과 절대연대결정법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고학이란 옛 유적, 유물을 바탕으로 하여 과거의 역사를 발굴해내는 학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고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연대결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떤 유물이 출토되었을 때 그 유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 유물을 사용되었던 시대를 파악하는 것도 연대결정이 중요한 몫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사시대의 고고학적 자료로부터 연대를 직접 알 수는 없다. 그래서 자료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연대를 알아내어야 한다. 이러한 연대 분석 잡업을 통해 연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흐릿한 역사의 흐름을 조금 더 분명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편년과 연대결정법은 아주 긴밀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데 다음에 살펴볼 내용이 바로 이 연대 결정법에 관한 것이다.

Ⅱ. 본론
1. 편년과 연대결정법
편년이란 무엇인가 편년은 고고학적 자료를 시간적인 선후로 배열하고 그것에 연대를 부 여하는 것으로, 그 자체의 의미보다는 다른 연구, 즉 문화의 기원 및 전파, 인간집단의 이 주방향, 문화의 변동속도 등의 밑바탕이 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 편년은 연대순으로 역사를 편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고고학자들은 편년에는 상대편년과 절 대편년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말한다. 상대편년은 유적과 문화 사이의 편년적 상호관계 를 설정해주는 것이고, 절대편년은 계년식(計年式)편년이라고도 부르며, 햇수로 된 연대를 가리킨다.
이러한 편년을 설정하는 방법을 편년법(編年法), 혹은 연대결정법이라고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