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교육
그는 인간의 도덕적 판단이 단순한 사회적 규범의 습득이 아니라, 사고의 성숙과 경험을 통해 단계적으로 발달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계적인간 이해는 교육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따라서 교육은 단순한 지식의 효율적 전달이 아니라, 이해와 성찰을 통한 인간화의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비해 후기 현대 철학은 인간을 해석과 관계 속에서 스스로의 의미를 찾아가는 존재로 이해하며, 교육을 인간 존재의 성숙을 돕는 실존적 과정으로 재정립한다.
인간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
이에 반해 후기 현대철학적 관점은 교육을 인간중심적 행위로 회복시키려 한다.
결국 후기 현대 철학적인 간 이해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제시하는 교육적 시사점은, 교육이 인간의 '존재'와 '의미'를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후기 현대 철학이 강조하는 '주체적인간'의 관점과도 맞닿아 있다.
근대 철학은 인간을 '이성적이고 자율적인 주체'로 강조하며, 세계를 인간의 인식능력으로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후기 현대철학적인 간 이해는 이러한 흐름을 종합하며, 인간을 관 계적·해석적·맥락적·자율적 존재로 파악한다.
후기 현대철학은 인간을 고립된 개체로 보지 않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형성해 가는 존재로 본다.
이는 인간을 자기 중심적 주체로 보는 근대적인간관과는 대조적이다.가다머(H.-G.Gadamer) 역시 인간의 이해는 대화(dialogue)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강조하며, '나는 너와의 관계 속에서나 자신을 이해한다'는 상호 주체적인 간관을 제시하였다.
실존 철학은 인간을 스스로의 삶과 선택을 통해 존재를 완성하는 주체로 이해한다.
언어와 담론 속에서 구성되는 인간
이처럼 인간은 고정된 본질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담론 속에서 지속적으로 구성되고 해체되는 존재이다.
따라서 교육에서도 언어와 담론의 힘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후기 현대 철학적인 간 이해는 인간을 고립된 기계적 존재로 환원한 과학적인 간관을 넘어서, 인간의 내면적 의미, 사회적 관계, 언어적 맥락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인간관을 제시한다.
이러한 과학적인 간관은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교육에서는 행동주의적 학습이론과 효율 중심의 교육 모델로 구현되었다.
후기 현대철학은 이러한 환원주의적 접근을 비판하며, 인간은 단순히 '측정 가능한 존재'가 아니라, 해석되고 이해되어야 하는 '의미적 존재'라고 주장한다.
학생은 지식을 내면화하는 존재가 아니라, 일정한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성과의 주체로 규정되었으며, 교육의 목적은 '인간 형성 '이 아니라' 능률적 인간 생산'으로 변질되었다.
콜버그(Law renceKohlberg, 1927~1987)는 피아제(Jean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도덕적 판단 능력이 발달 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성장한다고 보았다.
도덕발달은 단계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진행된다.
그는 도덕 판단의 내용이 아니라, 그 판단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근거를 중심으로 발달 단계를 구분하였다.
도덕성 발달의 3 수준 6단계
콜버그는 도덕 발달을 세 수준, 여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는 도덕적 판단의 근거가 '외적 통제→사회적 규범→내적 원리'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덕 판단은 경험과 토론을 통해 상위 단계로 발전하지만, 이미 획득한 사고 수준에서 퇴행하지 않는다.
콜버그의 이론은 인지 적 발달의 측면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지만,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한다.
이는 교육이 단순히 지식 전달의 과정이 아니라, 인간의 의미형성과 도덕적 성숙을 지원하는 존재론적 행위이자 실존적 만남의 과정임을 시사한다.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단순한 정보교환이 아니라, 서로의 경험과 관점을 이해하고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창조적 행위이다.
예를 들어 토론, 협력학습, 프로젝트 학습, 경험 기반 학습 등은 학생이 스스로 사고하고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며, 다원적 가치 속에서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된다.
결국 후기 현대 철학적인 간 이해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제시하는 교육적 시사점은, 교육이 인간의 '존재'와 '의미'를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후기 현대철학적인 간 이해가 제시하는 관계적·해석적인간관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보여주는 인지적·윤리적 성장의 틀은, 오늘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철학적 기반이 된다.
김정환(2020).「후기 현대철학에 근거한 인간이해의 교육적 의미」, 『교육철학 연구』, 제45권 제2호, 35-58 쪽.
강문숙(2021).「과학적인 간관의 한계와 교육의 인간화 방향」, 『교육 사상 연구』, 제33권 제1호, 89-112 쪽.
정일환(2018).「포스트모던 교육 철학과 인간 이해」, 『교육철학과 이론』, 제52권 제3호, 23-45쪽.
박병기(2017). 「도덕 발달이론의 교육적 재해석」, 『도덕윤리과 교육연구』, 제48권 제2호, 101-127 쪽.
1학년 2학기 인간과교육 2025 방통대 중간과제물 후기 현대철학은 인간을 단일하고 고정된 실체로 보지 않고, 사회·문화·언어적 맥락 속에서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존재로 바라본다.
또한 콜버그(Law rence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분석하여, 인간이해와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