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플라우가 제시한 간호사와 환자 관계에서의 6가지 역할과 자기평가 및 보완방안
이어서 페플라우가 제시한 간호사와 환자 관계의 6가지 역할을 설명하고, 자신이 잘 수행하는 역할과 취약한 역할을 비교하여 그 보완방안을 제시한다.
이처럼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은 모두 간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페플라우는 간호사가 환자와의 관계 속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6가지로 제시하였다.
개념은 간호학의 기본단위이며,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은 각각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상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로 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이론은 간호사가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태도를 제시하며, 자기 성찰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페플라우의 6가지 역할은 간호사의 다차원적 전문성을 설명하며, 특히 상담자 역할을 강화하는 것 이 환자 중심 간호를 실현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 간호학 연구와 실무에서 중요한 '개념'의 정의를 제시하고,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며 예시를 제시 한다.
다음으로 칼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이론에서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태도를 설명하고, 이를 기준으로 한 자기평가와 보완방안을 서술한다.
구체적 개념은 직접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개념을 의미한다.
추상적 개념은 직접 관찰하기 어렵고 주관적 해석이 필요한 개념으로, 인간의 내적 경험이나 심리적 상태와 관련된다.
이처럼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은 모두 간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를 평가하거나 비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존중해야 한다.
공감은 단순히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감정을 깊이 이해하고 반영하는 과정이다.
지도자 역할이다.
상담자 역할이다.
이 단계의 간호사는 경험이 거의 없으며 규칙에 의존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전문가(expert) 단계이다.
임상경험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업무를 계획적으로 수행하지만 직관적 통찰력과 즉각적 판단에서는 아직 한계가 있다.
전문가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다양한 임상 상황을 경험하여 직관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베너의 전문가 이론은 간호사의 성장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며, 현재 단계에서 전문가로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임상경험, 멘토링, 근거기반 실무학습, 자기 성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