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복지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같은 제도 안에서 혜택을 누림으로써 사회적 연대와 평등의식을 높인다.
보편주의가 특히 인상적이었던 이유는 두 가지다.
보편주의는 단순히 복지를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신뢰와 통합을 높이는 원리라는 점이다.
보편주의를 학습하면서 나는 복지를 바라보는 관점이 크게 변했다.
하지만 보편주의를 통해 복지가 모든 사람을 위한 사회적 권리이자 사회통합의 장치라는 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보편주의는 단순한 복지 확대가 아니라 사회적 권리와 통합, 낙인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원리다.
이어 '가난은 나라도 구하지 못한다'와 '가난은 나라가 구해야 한다'라는 두 입장을 비교 분석하여 나의 견해를 밝히고자 한다.
보편주의(universalism)는 사회복지정책에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권리로서의 복지를 의미한다.
보편적 복지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같은 제도 안에서 혜택을 누림으로써 사회적 연대와 평등의식을 높인다.
선별적 복지는 수급자가 '가난한 사람'이라는 낙인을 찍게 되지만, 보편주의 복지는 모두가 동일하게 제도를 이용하기 때문 에 수치심이나 차별감이 최소화된다.
보편주의는 단순히 복지를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신뢰와 통합을 높이는 원리라는 점이다.
복지를 '가난한 사람을 위한 것'으로 한정하면 복지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약화되고, 복지수급자는 사회적 차별을 겪는다.
그러나 보편주의는 모든 시민이 동등하게 권리를 누리기에 사회 전체가 제도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복지국가의 지속가능성을 높인다.
강의에서 이러한 부분이 강조될 때, 복지를 바라보는 나의 시각이 크게 확장되었다.
과거에는 복지가 주로 '가난한 사람을 돕는 제도'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보편주의를 통해 복지가 모든 사람을 위한 사회적 권리이자 사회통합의 장치라는 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두 입장은 개인 책임과 사회책임의 경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라는 문제로 귀결된다.
개인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은 효율성과 근로의욕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회적 약자를 구조적으로 방치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균형적 관점에서 복지를 이해할 때, 개인의 책임과 국가의 책임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지속가능한 사회가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