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행 후 가장 이루고 싶은 목표는 '고객에게 가장 편리하고 안전한 디지털 금융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사람과 기술을 잇는 ICT 금융 전문가'로 성장하여 하나은행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저는 하나은행이 디지털 기반의 종합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해가는 과정에서, 기술과 사람을 잇는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ICT 인재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고객과의 접점을 고려한 기술개발,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 설계, 신뢰를 구축하는 보안 기반 서비스를 통해 하나은행의 미래 경쟁력에 기여하겠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디지털리스크 관리체계를 고도화하여, 고객 중심의 안전한 금융플랫폼을 설계하는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ICT 직무는 고객의 금융경험을 설계하는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금융보안 프로젝트에 참여해 실제 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사용자 중심으로 개선하는 경험을 통해 제적성을 확신했습니다.
고객의 금융생활을 기술로 더 쉽고 안전하게 만드는 ICT 인재가 되고 싶습니다.
특히 보안, 리스크 관리, 데이터 분석과 같은 은행의 핵심 기능을 기술기반으로 혁신하고, 고객의 신뢰를 실현하는 데 일조하고 싶습니다.
하나은행에 입행하여 이루고 싶은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본인의 성장 계획을 작성해주세요.
입행 후에는 하나금융그룹의 디지털 전략과 연계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고객 예측시스템이나 자동화된 리스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단기적으로는 하나은행의 ICT 기획 및 시스템 개발조직에서 디지털 실무를 익히고, 중장기적으로는 하나금융 티아이, 하나금융 융합기술원 등 그룹사 간 연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역량을 높이겠습니다.
이처럼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설득을 시도하자 팀원들 도 점차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제장점은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득하는 능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하나은행처럼 다양한 채널과 플랫폼을 운영하는 은행에서는 기술역량 못지않게리스크를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흐름 속에서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금융'과 '플랫폼 확장'이 향후 은행산업의 핵심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고객이 불편을 느끼면 혁신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고령층, 외국인 사용자 등을 위한 UI/UX 개선, 음성 안내시스템 도입 등 포용적 금융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하나은행이 디지털 기반의 종합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해가는 과정에서, 기술과 사람을 잇는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ICT 인재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고객과의 접점을 고려한 기술개발,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 설계, 신뢰를 구축하는 보안 기반 서비스를 통해 하나은행의 미래 경쟁력에 기여하겠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디지털리스크 관리체계를 고도화하여, 고객 중심의 안전한 금융플랫폼을 설계하는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하나은행이 디지털 금융을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기술로 해결하는 ICT 인재가 되고 싶습니다.
Q4.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웠던 프로젝트와 그 해결 과정은?
웹 기반 보안인증 시스템을 설계하는 프로젝트에서, 다중로그인 탐지로 직구현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실제로 저는 'AI가계부' 앱을 분석한 경험이 있고, 고객 접점에서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다수 정리해보았습니다. 고객 경험 중심의 개선 제안은 기술자이기 전에 서비스 설계자로서 의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6.데이터 기반의사결정을 한 경험이 있다면?
창업동아리 활동 중 사용자 반응이 저조했던 기능을 개선한 경험이 있습니다.
Q7. 조직 내 갈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어떻게 해결했나요?
저는 사용자 맞춤 기능 위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고, 다른 팀원은 기능 단순화가 낫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금융산업에서는 정보보호와 편의성의 경계를 세밀하게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선 기술과 서비스 사이의 교차점을 이해하는 인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