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복지의 발전 과정 단계별 정리
우리나라 청소년 복지의 발전 방향 제시
5청소년 주도복지 실현
청소년의 주도성과 권리, 참여가 강조되며, 청소년을 복지의 대상이 아닌 '주체'로 바라보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앞으로의 청소년 복지는 참여, 다양성, 권리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변화하는 시대 환경 속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복지정책이 요구된다.
청소년 복지의 발전 과정 단계별 정리
청소년 복지는 인간 발달의 결정적 시기인 청소년기를 건강하고 자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가 제도적·환경적으로 지원하는 복지분야이다.
이에 따라 청소년 복지는 '선도', '보호'의 단계를 넘어 '권리보장', '참여', '자립' 중심으로 변화해왔고, 제도 또한 시대 흐름에 따라 진화해왔다.
1961년 「소년보호법 」제정이 대표적인 입법 사례로, 청소년 복지가 아닌 소년범 보호가 중심이었다.
민주화와 함께 청소년의 권리와 복지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고, 1991년 「청소년기본법 」제정은 청소년 정책의 분기점이 되었다.
여성가족부(당시 청소년위원회)가 청소년 정책을 주관하게 되었고, 전국적으로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설립되었다.
다양한 위기 청소년(가출, 중독, 학대, 자살 위험 등)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들이 본격화되었고, 지역사회 중심의 연계도 강화되었다.
청소년 자원봉사, 진로체험 등 자율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참여'가 복지영역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청소년 복지지원법 개정을 통해 통합사례관리(CYS-Net) 중심의 서비스가 확대되었고, 청소년 안전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청소년 자립지원관 등 다채로운 정책이 병행되고 있다.
청소년의 주도성과 권리, 참여가 강조되며, 청소년을 복지의 대상이 아닌 '주체'로 바라보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