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공동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업무 진행 상황을 중간 중간 팀원들과 투명하게 공유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숨기지 않고 즉시 알리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습관화하고 있습니다.
대학 시절 진행한 팀 프로젝트에서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아 팀 내 혼란과 갈등이 발생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는 계획대로 원활하게 진행되었으며, 모든 팀원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현장 경험은 단순한 이론 지식을 넘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배양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공직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의식은 '공정성', '투명성', 그리고 '책임감'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공직자의 행동은 국민의 감시와 평가 대상이 되기 때문에, 업무 진행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에 대해 스스로 책임지는 자세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윤리적 기준은 국민의 신뢰를 얻고 공직자로서의 사명을 다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토대가 됩니다.
이처럼 저는 공정성, 투명성,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공직자의 윤리의식을 일상 속에서 실천하며, 국민의 신뢰를 받는 진정한 공직자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초기에는 각 팀원이 자신의 할 일을 맡고자 했으나, 어떤 업무에 누가 책임을 질지 결정되지 않아 중복되거나 빠진 부분이 생기면서 프로젝트 진행이 크게 지연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치하면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전체가 실패할 수도 있겠다는 위기감이 들었고, 저는 책임감을 가지고 먼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이후 각 팀원의 강점과 관심 분야를 파악하여 적절한 역할을 분배했고, 각자 맡은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의하여 팀원들이 스스로 자신의 과업에 주인의식을 갖도록 유도했습니다.
제가 이처럼 주도적으로 역할 분담과 협력체계를 정립할 수 있었던 이유는, 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야 한다는 책임감과 팀원 간 원활한 협력이 곧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는 신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는 계획대로 원활하게 진행되었으며, 모든 팀원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습니다.